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7회 해설 (31번~40번)

답 :

황준헌의 조선 책략 이후

러시아를 막고 중국을 가까이 하고 미국과 연계하라는 내용은 조선 책략의 내용입니다.

2차 수신사인 김홍집이 조선책략을 가져온 후 (1880년)

개화 정책의 필요성과 미국과의 조약 (조미 수호 통상 조약)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이후 개화 정책에 대한 반발로 이만손이 영남만인소를 올렸습니다.  

 

ㄱ. 운요호 사건이 일어남 - 1876년 

ㄴ. 전국에 척화비가 건립됨 - 1871년

 

 

 

 

 

답 :

임오군란 이후 청의 내정 간섭을 타파하기 위해 명성왕후는 러시아 세력을 끌어들이려고 했고

이에 러시아 견제를 구실로 영국이 거문도를 점령했습니다.  

 

 

 

 

 

답 :

1차 갑오 개혁

은본위제 채택, 군국기무처 설치 등을 통해 1차 갑오 개혁으로 알 수 있습니다.

해당 개혁으로 과거제 폐지, 연좌제 금지, 노비법 혁파 등이 일어났고

건양이라는 연호 채택은 3차 갑오개혁 때 실시되었습니다.

 

① 과거제를 폐지함

② 연좌제를 금지함

③ 공사 노비법을 혁파함

④ 과부의 재가를 허용함

 

 

 

 

 

답 :

전주 화약 체결 이후

고부 농민들의 폭정 항거로 일어난 동학농민운동은

정부와 전주화약을 체결하면서 마무리되었습니다.

그러나 일본군이 경복궁을 포위하고 개혁을 요구하자

일본군을 물리치기 위해 다시 봉기합니다.

그 이후 공주 우금치 전투를 했고 패배하면서 전봉준이 체포되고 진압됩니다. 

 

① 최시형이 동학의 2대 교주가 됨 - 동학농민운동 이전

② 백산에서 집결하여 4대 강령을 발표함 - 황토현 전투 이전

④ 황룡촌 전투에서 장태를 이용하여 승리함 - 전주 화약 이전

⑤ 서울에서 교조 신원을 위한 복합 상소를 올림 - 동학농민운동 이전

 

 

 

 

 

답 :

(가) 아관파천 (1896년 2월)

(나) 단발령 (1895년 12월)

(다) 을미사변 (1895년 10월)  

 

명성왕후가 러시아 세력을 끌어들이려 하자 일본은 명성왕후를 시해하는 을미사변을 일으켰습니다.

그 이후 친러 세력이 몰락하고 을미개혁이 일어나면서 단발령이 시행됩니다.

이후 고종은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하게 됩니다.

 

 

 

 

 

답 :

고종은 아관파천 이후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관련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1987년)

대표적인 정책으로 지계 발급, 원수부 설치 등이 있습니다.

 

① 신식 군대인 별기군을 창설함 - 1881년

② 청에 영선사로 김윤식을 파견함 - 1881년

④ 서양식 근대 교육 기관인 육영 공원을 설립함 - 1886년

⑤ 개화 정책을 담당하는 통리기무아문을 신설함 - 1880년

 

 

 

 

 

 

답 :

영국인 베델, 양기탁으로 보아 대한매일신보임을 알 수 있습니다.

대한매일신보는 신민회 기관지 느낌으로 일제의 탄압을 피하기 위해 영국인 사장을 임명했습니다.

주요한 업적으로는 을사늑약의 부당성을 주장하는 고종의 친서를 게재했습니다.

 

① 박문국에서 발간함 - 한성순보

② 최초로 상업 광고를 실음 - 한성주보

④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신문 - 독립신문

⑤ 일장기를 삭제한 손기정 사진을 게재함 - 동아일보

 

 

 

 

 

답 :

안창호

도산이라는 호를 가진 인물, 흥사단, 신민회 결성 등으로 안창호임을 알 수 있습니다.

안창호는 교육사업으로 평양에 대성학교를 설립했습니다.

 

① 국문 연구소의 위원으로서 국문 연구에 힘씀 - 주시경

③ 도쿄에서 일왕이 탄 마차를 향해 폭탄을 던짐 - 이봉창

④ 한국독립운동지혈사에서 독립 투쟁을 서술함 - 박은식

⑤ 13도 창의군을 이끌고 서울 진공 작전을 전개함 - 이인영

 

 

 

 

 

답 :

(가) 멕시코

에네켄 농장과 승무 학교 설립을 통해 멕시코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답 :

(가) 의열단

김원봉, 윤세주 등으로 의열단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의열단은 신채호의 조선 혁명 선언을 활동 지침을 삼았으며

조선총독부, 종로경찰서, 부산경찰서 등에 폭탄을 투척했습니다.

 

① 국채 보상 운동을 적극 후원함 - 서상돈

③ 청산리에서 일본군에 맞서 대승을 거둠 - 북로군정서

④ 구미 위원부를 설치하여 외교 활동을 전개함 - 대한민국 임시정부

⑤ 만민 공동회를 개최하여 민권 신장을 추구함 - 독립협회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