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7회 해설 (31번~40번)
- 한국사 (Korean History)/한국사 고급 46회~50회
- 2020. 9. 2. 09:00
답 : ⑤
황준헌의 조선 책략 이후
러시아를 막고 중국을 가까이 하고 미국과 연계하라는 내용은 조선 책략의 내용입니다.
2차 수신사인 김홍집이 조선책략을 가져온 후 (1880년)
개화 정책의 필요성과 미국과의 조약 (조미 수호 통상 조약)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이후 개화 정책에 대한 반발로 이만손이 영남만인소를 올렸습니다.
ㄱ. 운요호 사건이 일어남 - 1876년
ㄴ. 전국에 척화비가 건립됨 - 1871년
답 : ③
임오군란 이후 청의 내정 간섭을 타파하기 위해 명성왕후는 러시아 세력을 끌어들이려고 했고
이에 러시아 견제를 구실로 영국이 거문도를 점령했습니다.
답 : ⑤
1차 갑오 개혁
은본위제 채택, 군국기무처 설치 등을 통해 1차 갑오 개혁으로 알 수 있습니다.
해당 개혁으로 과거제 폐지, 연좌제 금지, 노비법 혁파 등이 일어났고
건양이라는 연호 채택은 3차 갑오개혁 때 실시되었습니다.
① 과거제를 폐지함
② 연좌제를 금지함
③ 공사 노비법을 혁파함
④ 과부의 재가를 허용함
답 : ③
전주 화약 체결 이후
고부 농민들의 폭정 항거로 일어난 동학농민운동은
정부와 전주화약을 체결하면서 마무리되었습니다.
그러나 일본군이 경복궁을 포위하고 개혁을 요구하자
일본군을 물리치기 위해 다시 봉기합니다.
그 이후 공주 우금치 전투를 했고 패배하면서 전봉준이 체포되고 진압됩니다.
① 최시형이 동학의 2대 교주가 됨 - 동학농민운동 이전
② 백산에서 집결하여 4대 강령을 발표함 - 황토현 전투 이전
④ 황룡촌 전투에서 장태를 이용하여 승리함 - 전주 화약 이전
⑤ 서울에서 교조 신원을 위한 복합 상소를 올림 - 동학농민운동 이전
답 : ⑤
(가) 아관파천 (1896년 2월)
(나) 단발령 (1895년 12월)
(다) 을미사변 (1895년 10월)
명성왕후가 러시아 세력을 끌어들이려 하자 일본은 명성왕후를 시해하는 을미사변을 일으켰습니다.
그 이후 친러 세력이 몰락하고 을미개혁이 일어나면서 단발령이 시행됩니다.
이후 고종은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하게 됩니다.
답 : ③
고종은 아관파천 이후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관련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1987년)
대표적인 정책으로 지계 발급, 원수부 설치 등이 있습니다.
① 신식 군대인 별기군을 창설함 - 1881년
② 청에 영선사로 김윤식을 파견함 - 1881년
④ 서양식 근대 교육 기관인 육영 공원을 설립함 - 1886년
⑤ 개화 정책을 담당하는 통리기무아문을 신설함 - 1880년
답 : ③
영국인 베델, 양기탁으로 보아 대한매일신보임을 알 수 있습니다.
대한매일신보는 신민회 기관지 느낌으로 일제의 탄압을 피하기 위해 영국인 사장을 임명했습니다.
주요한 업적으로는 을사늑약의 부당성을 주장하는 고종의 친서를 게재했습니다.
① 박문국에서 발간함 - 한성순보
② 최초로 상업 광고를 실음 - 한성주보
④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신문 - 독립신문
⑤ 일장기를 삭제한 손기정 사진을 게재함 - 동아일보
답 : ②
안창호
도산이라는 호를 가진 인물, 흥사단, 신민회 결성 등으로 안창호임을 알 수 있습니다.
안창호는 교육사업으로 평양에 대성학교를 설립했습니다.
① 국문 연구소의 위원으로서 국문 연구에 힘씀 - 주시경
③ 도쿄에서 일왕이 탄 마차를 향해 폭탄을 던짐 - 이봉창
④ 한국독립운동지혈사에서 독립 투쟁을 서술함 - 박은식
⑤ 13도 창의군을 이끌고 서울 진공 작전을 전개함 - 이인영
답 : ⑤
(가) 멕시코
에네켄 농장과 승무 학교 설립을 통해 멕시코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답 : ②
(가) 의열단
김원봉, 윤세주 등으로 의열단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의열단은 신채호의 조선 혁명 선언을 활동 지침을 삼았으며
조선총독부, 종로경찰서, 부산경찰서 등에 폭탄을 투척했습니다.
① 국채 보상 운동을 적극 후원함 - 서상돈
③ 청산리에서 일본군에 맞서 대승을 거둠 - 북로군정서
④ 구미 위원부를 설치하여 외교 활동을 전개함 - 대한민국 임시정부
⑤ 만민 공동회를 개최하여 민권 신장을 추구함 - 독립협회
'한국사 (Korean History) > 한국사 고급 46회~50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8회 해설 (1번~10번) (0) | 2020.11.17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7회 해설 (41번~50번) (2) | 2020.09.03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7회 해설 (21번~30번) (0) | 2020.09.01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7회 해설 (11번~20번) (0) | 2020.08.07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7회 해설 (1번~10번) (0) | 2020.07.27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