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7회 해설 (21번~30번)

답 :

(가) 무오사화 (1498년)

(나) 조광조의 위훈삭제 주장 (16세기 기묘사화 이전)

무오사화는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빌미삼아 유자광과 이극돈과 같은 훈구파가 사림에 화를 입힌 것을 말합니다. 이후 연산군은 폭정을 일으키며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이 폐위되었습니다.

그 이후에 조광조의 위훈삭제를 빌미로 훈구파가 기묘사화를 일으켰습니다.

 

① 양재역 벽서 사건이 일어남 - 1547년, 을사사화 시기

② 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었음 - 1575년

④ 성삼문 등이 상왕의 복위를 꾀하다가 처형됨 - 1456년

⑤ 공신 책봉에 불만을 품고 이괄이 반란을 일으킴 - 1624년

 

 

 

 

 

답 :

(가) 임진왜란

조명 연합군과 일본군으로 말미암아 임진왜란임을 알 수 있습니다.

임진왜란의 3대 대첩으로는 이순신의 한산 대첩, 권율의 행주대첩, 김시민의 진주대첩이 있습니다.

 

① 김상용이 강화도에서 순절함 - 병자호란

② 정봉수가 용골산성에서 항쟁함 - 정묘호란

③ 최영이 홍산 전투에서 큰 승리를 거둠 - 고려 말

⑤ 이종무가 적의 근거지인 쓰시마를 정벌함 - 조선 초 세종 시기

 

 

 

 

 

답 :

균역법

양역의 폐단 개선, 군포를 1필로 줄이는 것으로 보아 균역법으로 알 수 있습니다.

군포를 줄이는 것으로 세수가 부족하자 왕실 재정이었던 선박세, 어장세, 염세 등을

국가 재정으로 귀속했습니다.  

 

① 수신전과 휼양전을 폐지함 - 직전법

② 토지 1결당 미곡 12두를 부과함 - 대동법

③ 양전 사업을 시행하여 지계를 발급함 - 대한제국 시기

④ 풍흉에 따라 9등급으로 전세를 부과함 - 연분 9등법

 

 

 

 

 

답 :

정조

정조의 대표적인 업적으로 규장각, 초계문신제 등이 있습니다.

그 외 업적으로 수원 화성 건설, 친위 부대 장용영 등이 있습니다.

 

① 훈련도감 설치 - 선조

③ 나선 정벌 단행 - 효종

④ 간도 관리사 파견 - 대한제국

⑤ 이인좌의 난 진압 - 영조

 

 

 

 

 

 

답 :

조선 후기

남인과 서인, 향교, 신향과 구향 등으로 보아 조선 후기로 알 수 있습니다.

조선 후기에는 역관과 같은 중인들도 문예활동을 통해 신분 상승을 도모했고

상평통보와 같은 돈이 유통되기 시작했습니다.

 

ㄱ. 염포의 왜관에서 교역하는 상인 - 임진왜란 이전

ㄷ. 시전의 상행위를 감독하는 경시서의 관리 - 조선 초기

 

 

 

 

 

답 :

(가) 이익

성호 이익은 성호사설을 통해 6가지 폐단을 좀벌레로 지적하여 비판했고

토지 매매를 제한하는 한전론 제시, 천주교 비판 등을 했습니다.

 

① 북경에 다녀온 후 연행록을 남김 - 김정중

② 양명학을 연구하여 강화학파를 형성함 - 정제두

③ 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고증함 - 김정희

⑤ 북학의를 저술하여 절약보다 소비를 권장함 - 박제가

 

 

 

 

 

 

답 : 

(가) 정선

겸재 정선은 진경산수화의 대표적인 화가로 금강전도와 인왕재색도 등이 있습니다.

 

① 김홍도의 총석정도

② 정선의 인왕재색도  

강세황의 영토동구도

④ 김정희의 세한도

⑤ 안견의 몽유도원도

 

 

 

 

 

답 :

조선 후기 세도 정치 시기 (19세기)

소수 특정 가문의 권력 독점으로 세도 정치 시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을사사화는 명종 때 발생한 사화로 16세기입니다.  

 

② 홍경래가 난을 일으킴 - 1811년

③ 삼정이정청이 설치됨 - 1862년

④ 최제우가 동학을 창시함 - 1860년

⑤ 이양선이 나타나 통상을 요구함 - 19세기

 

 

 

 

 

답 :

병인양요 (1866년)

프랑스군이 외규장각을 약탈해간 시기는 병인양요 이후입니다.

종교 탄압인 병인박해로 천주교 선교사와 신자들이 처형되면서

이 소식이 프랑스에 전해지면서 프랑스군이 병인양요를 일으켰습니다.

 

① 고종이 국외 중립을 선언함 - 러일전쟁시기 (1904~1905년)

② 함경도 관찰사가 방곡령을 선포함 - 1889~1891년

③ 오페르트가 남연군 묘를 도굴하려 함 - 1868년

④ 위안스카이가 이끄는 군대가 조선에 상륙함 - 1882년 임오군란

 

 

 

 

 

답 :

(가) 고종의 즉위 - 1863년

(나) 흥선대원군의 하야 - 1873년

고종이 12세의 나이로 즉위한 뒤 실질적인 통치는 흥선대원군이 진행했습니다.

하야 전까지 대표적인 업적으로는 양전사업, 호포제, 당백전 발행,

환곡의 문란을 개선하기 위한 사창제 실시 등이 있습니다.

 

② 속대전이 편찬됨 - 영조

③ 장용영이 설치됨 - 정조

④ 계해약조가 체결됨 - 세종

⑤ 백두산정계비가 건립됨 - 숙종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