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7회 해설 (1번~10번)
- 한국사 (Korean History)/한국사 고급 46회~50회
- 2020. 7. 27. 21:48
답 : ①
(가) 구석기 시대
뗀석기와 슴베찌르기를 사용하는 시대는 구석기 시대입니다.
주로 이동 생활과 사냥을 했으며 동굴이나 막집에 거주했습니다.
② 가락 바퀴를 이용하여 실을 뽑음 - 신석기 시대
③ 명도전을 이용하여 중국과 교역함 - 철기 시대
④ 철제 농기구를 사용하여 농사를 지음 - 철기 시대
⑤ 의례 도구로 청동 방울 등을 제작함 - 청동기 시대
답 : ②
(가) 부여
고구려의 주몽은 부여에서 나온 사람이며, 고구려에서 백제의 온조와 비류가 나왔습니다.
부여의 대표적인 제도로는 1책 12법과 12월에 영고라는 제천 행사가 있습니다.
① 신성 구역인 소도를 둠 - 삼한
③ 혼인 풍속으로 민며느리제가 있었음 - 옥저
④ 부족 간의 경계를 중시하는 책화가 있었음 - 동예
⑤ 목지국을 비롯한 많은 소국으로 이루어짐 - 삼한 (마한)
답 : ④
(나) 근초고왕의 공격과 고국원왕의 전사 (371년)
(다) 광개토 대왕의 군사 지원 (5세기 초)
(가) 비유왕과 눌지왕의 동맹 체결 (433년)
고구려는 백제의 공격으로 고국원왕이 전사한 후 소수림왕이 즉위했습니다.
그 이후 고구려는 체제를 정비하고 광개토대왕이 즉위하면서 전성기를 맞이했습니다.
신라를 군사적으로 지원하기도 했지만 장수왕이 즉위하면서 남진 정책으로
신라와 백제에게 큰 부담이 됐고 나제 동맹을 체결하게 됩니다.
답 : ①
진흥왕
화랑도를 만들고 대가야를 멸망시킨 것으로 보아 진흥왕으로 알 수 있습니다.
진흥왕은 신라의 영토를 가장 확대한 왕이기도 하며 그 증거로 순수비를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거칠부로 하여금 역사서인 국사를 편찬하게 했습니다.
② 김헌창이 옹천주에서 반란을 일으킴 - 헌덕왕
③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가 공인됨 - 법흥왕
④ 최고 지배자의 호칭이 마립간으로 바뀜 - 내물마립간
⑤ 자장의 건의로 황룡사 9층 목탑이 건립됨 - 선덕여왕
답 : ①
백제 금동대향로
백제 금동 대향로는 부여 능산리 절터에서 발견된 문화 유산으로
신선 사상이 깃들어져 있어 도교적 요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② 가야토우
③ 무령왕릉 석수
④ 발해 돌사자상
⑤ 신라 금관
답 : ⑤
(가) 발해
무왕과 대무예로 보아 발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발해에는 거란도, 영주도 등의 5개의 수도를 두어 주변 국가와 교류했습니다.
① 지방의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함 - 백제
② 교육 기관으로 태학과 경당을 둠 - 고구려
③ 골품에 따라 관등 승진에 제한이 있었음 - 신라
④ 화백 회의에서 국가의 중대사를 논의함 - 신라
답 : ②
(가) 백제 의자왕의 대야성 함락 (642년)
(나) 황산 전투와 백제 멸망 (660년)
백제가 대야성을 함락하자 김춘추는 연개소문을 찾아가
고구려와 동맹하기를 요청했지만 거절당했고 당나라와 나당동맹을 체결하게됩니다.
그 이후 힘을 모아 백제를 공격해 황산 전투에 승리하면서 멸망시켰습니다.
① 안승이 보덕국의 왕으로 임명됨 - 674년
③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대승을 거둠 - 612년
④ 신라군이 기벌포에서 적군을 격파함 - 676년
⑤ 복신과 도침이 부여풍을 왕으로 추대함 - 663년
답 : ④
통일신라의 통치 제도
그림의 행정 구역은 9주 5소경으로 통일신라는 14부가 있습니다.
그 14부 중 관리 감찰 역할을 하는 사정부가 있습니다.
① 중앙군을 2군 6위로 조직함 - 고려
② 지방관으로 안찰사를 파견함 - 고려
③ 중앙 관제를 3성 6부로 정비함 - 발해
⑤ 유학 교육 기관으로 주자감을 설치함 - 발해
답 : ④
(가) 원효대사
무애를 지어 불교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한 인물은 원효대사입니다.
또한, 일심 사상을 바탕으로 아미타 사상을 전파했고 금강삼매경론 등을 저술했습니다.
① 부석사를 창건함 - 의상
② 백련결사를 주도함 - 요세
③ 왕오천축국전을 남김 - 혜초
⑤ 신편제종교장총록을 편찬함 - 의천
답 : ②
(가) 후백제
견훤은 전주성에서 후백제를 건국했으며 중국의 후당, 오월 등과 교류했습니다.
후백제는 공산 전투에서 고려군에 대승을 거두기도 했지만
시간이 흘러 고창 전투에서 패배하고 내분으로 무너지면서 고려에 멸망했습니다.
① 광평성 등의 정치 기구를 둠 - 후고구려
③ 인안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 - 발해
④ 청해진 중심으로 해상 무역을 전개함 - 신라
⑤ 국호를 마진으로 바꾸고 철원으로 천도함 - 후고구려
'한국사 (Korean History) > 한국사 고급 46회~50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7회 해설 (21번~30번) (0) | 2020.09.01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7회 해설 (11번~20번) (0) | 2020.08.07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46회 해설 (41번~50번) (0) | 2020.04.16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46회 해설 (31번~40번) (0) | 2020.04.15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46회 해설 (21번~30번) (2) | 2020.04.14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