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7회 해설 (11번~20번)
- 한국사 (Korean History)/한국사 고급 46회~50회
- 2020. 8. 7. 14:13
답 : ③
(가) 고려 태조와 성종 사이의 시기
왼쪽 그림은 훈요 10조로 고려 태조 왕건 시기임을 알 수 있고
오른쪽 그림은 시무 28조로 성종 시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노비 안검법은 광종 시기로 태조와 성종 사이입니다.
① 정방이 설치됨 - 고려 고종 (최우)
② 별무반이 편성됨 - 고려 숙정
④ 독서삼품과가 시행됨 - 신라 하대
⑤ 정동행성 이문소가 폐지됨 - 고려 공민왕
답 : ①
고려 시대의 경제
본문의 벽란정과 개경으로 고려시대임을 알 수 있습니다.
고려 숙종 때 주전도감에서 해동중보, 삼한통보 및 활구를 만들었습니다.
② 인삼, 담배가 상품 작물로 재배됨 - 조선 후기
③ 내상, 만상 등이 무역을 통해 부를 축적함 - 조선 후기
④ 덕대가 물주에게 자금을 받아 광산을 경영함 - 조선 후기
⑤ 공납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 대동법이 시행됨 - 조선 후기
답 : ④
이규보의 동명왕편
이규보는 무신집권기 활동한 문인으로
고구려 시조 고주몽 일대기를 기록한 동명왕편이 대표작입니다.
① 신라와 발해를 남북국으로 지칭함 - 유득공의 발해고
② 단군을 우리 역사의 기원으로 기록함 - 일연의 삼국유사, 이승휴의 제왕운기
③ 연대순으로 기록하는 편년체로 서술됨
⑤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대 왕의 계보가 수록됨 - 이승휴의 제왕운기
답 : ③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1135년)
묘청은 인종 시기 수도를 서경으로 옮기자고 제안하는 서경 천도 운동을 벌였고
받아들여지지 않자 묘청의 난을 일으켰습니다.
답 : ①
(가) 논산 관촉사 석조은진미륵보상입상
② 관봉석조여래좌상
③ 안동 이천동 석불
④ 서산마애삼종불상
⑤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답 : ②
변발과 호복이 지배층 사이에서 유행한 시기는 원간섭기인 고려 후기입니다.
이 시기에 친원 세력인 권문세족이 도평의사사를 장악하여 권력을 행사했습니다.
① 윤관이 동북 9성을 쌓았음 - 고려 중기
③ 정중부 등이 정변을 일으켜 권력을 차지했음 - 무신정변 시기
④ 초조 대장경을 만들어 국난 극복을 기원함 - 고려 전기
⑤ 만적을 비롯한 노비들이 신분 해방을 도모함 - 무신정변 시기
답 : ⑤
세종 시기의 장영실
자격루를 만든 장영실은 세종 시기에 주로 활동했던 발명가입니다.
세종 시기에 농사직설, 칠정산 등이 편찬되었습니다.
화통도감에서 화약을 만든 시기는 고려 말입니다.
① 집현전에서 근무하는 관리 - 세종 시기
② 농사직설을 읽고 있는 지방관 - 세종 시기
③ 칠정산 내외편을 편찬하는 학자 - 세종 시기
④ 주자소에서 갑인자를 제작하는 장인 - 세종 시기
답 : ②
(가)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1391년)
(나) 경복궁 건설 (1394년)
(다) 과전법 제정 (1391년, 위화도 회군 이후)
답 : ②
성종의 관수관급제
관료들이 세금을 많이 거두어들이는 직전법의 폐단을 막기 위해
소속 관청에서 세금을 거두어 들이고 관리에게 지급하는 관수관급제를 실시했습니다.
또한 성종시기에는 경국대전을 완성시켰습니다.
① 현량과를 통해 신진 사림이 등용됨 - 중종
③ 영창 대군이 사사되고 인목 대비가 유폐됨 - 광해군
④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왕자의 난이 발생함 - 태조
⑤ 붕당의 폐해를 경계하기 위한 탕평비가 건립됨 - 영조
답 : ⑤
향교
향교는 지방의 관립학교로 대성전 중심의 제사 공간과 명륜당 중심의 강학 공간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향교는 부목군현에 설치되었으며 중앙에서 교수와 훈도를 파견하기도 했습니다.
① 좌수와 별감을 두고 운영함 - 유향소
② 지방의 사림 세력이 주로 설립됨 - 서원
③ 소과에 합격해야 입학 자격이 주어짐 - 성균관
④ 흥선대원군에 대부분 철폐됨 - 서원
'한국사 (Korean History) > 한국사 고급 46회~50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7회 해설 (31번~40번) (0) | 2020.09.02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7회 해설 (21번~30번) (0) | 2020.09.01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7회 해설 (1번~10번) (0) | 2020.07.27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46회 해설 (41번~50번) (0) | 2020.04.16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46회 해설 (31번~40번) (0) | 2020.04.15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