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35회 해설 (31번~40번)

답 :

(가) 서얼

서얼은 양반 자손 중 첩의 소생, 자제를 이르는 말로 문과로 응시하는 것이 금지됐고

무관에 등용되기도 했지만, 제사나 재산 상속 등에서 차별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영조, 정조 시대에 서얼이 등용되기 시작하면서 서얼통청운동과 같은 적극적인 신분 상승 운동을 펼쳤고

정조 시기에는 이덕무, 박제가와 같은 서얼 출신들이 규장각 검서관으로 등용되기도 했습니다.

 

ㄱ. 화척, 양수척 등으로 불림 - 백정, 거란족 혹은 여진족의 귀화인

ㄹ. 차별 철폐를 위해 조선 형평사를 조직 - 백정

 

 

 

 

 

답 :

(가) 흥선대원군

조선 후기 군정의 문란으로 백성들의 부담이 커지자 영조 때 균역법을 시행했지만,

군역의 폐단이 사라지지 않았고 흥선 대원군은 호 단위로 군포를 징수하는 호포제를 실시했습니다.

 

② 전세를 1결당 4~6두로 고정하는 영정법을 실시 - 인조

③ 현직 관리에게만 과전을 지급하는 직전법을 시행 - 세조

④ 봄에 곡식을 빌려주고 가을에 갚도록 하는 의창을 실시 - 고려 시기

⑤ 기금을 모아 그 이자로 빈민을 구제하는 제위보를 마련 - 고려 시기

 

 

 

 

 

답 :

신미양요

미국의 상선 제너럴 셔먼호가 대동강을 거슬러 평양 가까이 다가왔고

이 과정에서 관민들과의 충돌로 제너럴 셔먼호가 불탔습니다.

이에 분노한 미국은 강화도에 침입하여 신미양요를 일으켰고

어재연부대가 광성보에서 항전했지만, 이과정에서 '수' 자기를 뺏겼습니다.

 

① 운요호 사건이 원인이 됨 - 강화도 조약

② 병인박해가 일어나는 계기가 됨 - 병인양요

③ 톈진 조약이 체결되는 배경이 됨 - 갑신정변

⑤ 외규장각 도서가 약탈되는 피해를 입음 - 병인양요

 

 

 

 

 

답 :

방곡령 선포의 배경

강화도 조약으로 인한 개항 직후 일본 상인들이 곡물을 일본으로 가져가면서

곡물 값이 오르고 곡물의 양이 부족해지면서 개정된 조일 통상 장정을 체결하면서 방곡령이 시행됐습니다.

 

② 러시아가 절영도 조차를 시도 - 자국 선박의 연료 공급 목적

③ 일본이 황무지 개간권을 요구 

④ 시전 상인들이 황국 중앙 총상회를 조직 - 개항 이후 청일의 외국상인 침투

⑤ 메가타의 주도로 화폐 정리 사업이 실시됨 - 제1차 한일 협약

 

 

 

 

 

답 :

임오군란이후 제물포 조약의 체결

개화 정책 추진으로 인한 구식 군인 차별에 분노한 군인들은 임오군란을 일으켰고

정부 고관들의 집을 부수고 일본 공사관을 공격했습니다.

이에 일본은 군란의 책임을 정부에게 물었고 제물포 조약을 체결하게 됐습니다.

 

② 영국이 거문도를 불법으로 점령 - 러시아의 남하 견제

③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김 - 을시사변 이후

④ 전봉준이 이끄는 농민군이 전주성을 점령 - 동학농민운동의 전개

⑤ 김옥균 등이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을 기회로 정변을 일으킴 - 갑신정변

 

 

 

 

 

답 :

부들러의 중립외교론 (1885년) 

갑신정변(1884년) 이후 청, 일본, 러시아, 영국등이 한반도를 둘러싸고 세력 다툼이 일어났고

이에 국제 분쟁을 우려한 주선 주재 독일 부영사 부들러는 한반도 중립화를 조선에 건의했습니다.

 

 

 

 

 

답 :

교육입국조서 반포 이후의 사실  

고종은 국민 교육의 필요성을 느껴 교육입국 조서를 반포하여 학교를 세워 인재를 기르는 길이

국가 중흥과 국가 보존에 직결된다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그 이후 교사 양성을 위한 한성 사범학교, 외국어 학교, 소학교 등이 설립되었습니다.

 

① 박문국이 설치됨 - 개항 이후 개화 정책

② 육영공원이 세워짐 - 개항 이후 개화 정책

③ 조사 시찰단이 파견됨 - 통리기무아문 설치 후

④ 통리기무아문 설치됨 - 개항 이후 개화 정책

 

 

 

 

 

답 :

조소앙의 삼균주의

조소앙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국무원 비서장을 지냈고 한국 독립당을 결성한 인물로

1941년 11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을 통해 건국 강령을 제정, 발표하면서

새로운 국가 건설의 이념으로 삼균주의를 주창했습니다.

 

① 도쿄에서 일왕의 행렬에 폭탄을 투척함 - 이봉창

② 재미 한인을 중심으로 흥사단을 조직 - 안창호

③ 일본의 침략 과정을 서술한 한국통사를 저술 - 박은식

⑤ 일제의 패망과 광복에 대비하여 조선 건국 동맹을 결성 - 여운형  

 

 

 

 

 

답 :

한국 최초의 서양식 극장 원각사의 특징

원각사는 이인직의 은세계, 치악산 등의 신소설을 각색하여 연극으로 공연하면서

신극운동이 시작되었습니다.

 

① 알렌으 건의로 만들어짐 - 광혜원

② 나운규의 아리랑이 개봉됨 - 단성사

③ 신간회 창립 대회가 개최됨 - 서울 YMCA
④ 고종의 황제 즉위식이 거행됨 - 남별궁 터

 

 

 

 

 

답 :

한일 신협약 체결 이후의 사실

일제는 헤이그 특사를 빌미로 고종을 강제 퇴위시키고 한일신협약을 체결하여

군대를 해산시켰습니다. 이에 반발하여 정미의병이 일어났고

군인들이 합류하여 13도 연합 의병이 서울 진공 작전을 전개했습니다.

 

① 이만손 등이 영남 만인소를 올림 - 조선 책략 유포 이후

② 최익현이 태인에서 의병을 일으킴 - 을사조약 이후

③ 독립 협회가 만민 공동회를 개최 - 아관파천 이후

④ 민영환이 조약 체결에 항거하여 순국 - 을사조약 이후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