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35회 해설 (16번~20번)

답 :

(가) 충렬왕의 관제 격하 (1275년)

(나) 공민왕의 기철 등의 친원 세력 숙청 (1356년)

고려 국왕은 원의 공주와 결혼하여 원 황제의 부마가 됐고 왕실의 호칭과 관제가 부마국에 맞게 격하되었습니다.

그 이후 원은 일본 원정을 준비하기 위해 정동행성을 설치하고 내정 간섭 기구로 삼았습니다. (1280년)

 

② 경기 지역에 한하여 과전법이 실시됨 - 1391년

③ 김윤후가 처인성에서 살라타를 사살함 - 1232년

④ 정중부 등이 정변을 일으켜 권력을 장악함 - 1170년

⑤ 우왕이 요동 정벌을 위해 이성계를 파견 - 1388년

 

 

 

 

 

답 :

(가) 팔만대장경

팔만대장경은 고려의 최씨 무신 정권이 부처의 힘으로

몽골군을 물리치기 위해 강화도에서 만들어졌습니다.

현재 팔만대장경이 보관되어 있는 합천 해인사의 장견판전은

우수한 기록 보존으로 2007년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지정되었습니다.

① 자장의 건의로 만들어짐 - 황룡사 9층 목탑

② 현존하는 최고의 금속 활자본 - 직지심체요절

④ 현재 프랑스 국립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음 - 직지심체요절

⑤ 불국사 삼층 석탑을 보수하는 과정에서 발견됨 - 무구정광 대다라니경

 

 

 

 

 

답 :

성리학자 이제현

이제현은 역옹패설을 저술하고 역사서 사략을 편찬했으며,

중국의 여러지역을 다니면서 만권당에서 원의 학자들과 교류하면서 성리학에 대한 이해를 심화했습니다.

 

① 고려에 성리학을 최초로 소개 - 안향

② 9재 학당을 세워 유학 교육에 힘씀 - 최충

④ 양명학을 연구하여 강화 학파를 형성 - 정제두

⑤ 성리학을 도식으로 설명한 성학십도를 저술 - 이황

 

 

 

 

 

답 :

고려 무신 정권기의 김사미와 효심의 난 (1193년)

무신정변으로 고려 전기의 신분 제도가 동요됐고

무신들간의 대립과 지배체제의 붕괴로 수탈이 강화됐습니다.

이에 백성들은 수탈을 견디지 못해 전국에서 대규모의 봉기를 시작했고

특히, 경주 주변 지역에는 김사미와 효심이 신라 부흥 운동으로 봉기했습니다.

 

 

 

 

 

답 :

(가) 한식

한식은 동지에서 105일째 되는 날이고, 양력으로 4월입니다.

한식에는 불을 사용하지 않고 찬 음식을 먹으며 성묘를 합니다.  

 

① 진달래꽃으로 화전 부치기 - 삼짇날

② 새알심을 넣어 팥죽 만들기 - 동지

③ 창포를 삶은 물로 머리 감기 - 단오

⑤ 부스럼을 예방하기 위한 부럼 깨기 - 정월대보름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