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35회 해설 (21번~30번)

답 :

주자소를 설치한 조선 태종의 업적

태종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6조 직계제 시행, 호패법을 실시했으며,

주자소를 설립하고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세계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지도를 만들었습니다.

 

① 집현전을 계승한 홍문관이 설치됨 - 조선 성종

② 전통 한의학을 정리한 동의보감이 간행됨 - 광해군

③ 강우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우기가 제작됨 - 세종

④ 역대 문물을 정리한 동국문헌비고가 편찬됨 - 영조

 

 

 

 

 

답 :

(가) 조선경국전을 편찬한 정도전

정도전은 이성계와 제휴하여 최영세력을 몰아내고 과전법을 주도했으며, 조선 건국에 앞장섰습니다.

조선 건국 이후에는 유교적 통치 규범을 위해 조선경국전을 편찬하고

불교를 배척하기 위해 불씨잡변을 지어 불교를 비판했습니다.

 

② 계유정난을 계기로 정계에서 축출됨 - 김종서, 황보인 등

③ 일본에 다녀와서 해동제국기를 편찬 - 신숙주

④ 인재 등용을 위해 현량과 실시를 건의 - 조광조

⑤ 방납의 폐단을 줄이고자 수미법을 주장 - 조광조

 

 

 

 

 

답 :

(가) 서원

서원은 이름난 선비나 공신을 숭배하고 그 덕행을 추모하는 향사를 하고

유생이 한 자리에 모여 학문을 닦고 연구하는 곳입니다.

서원은 풍기 군수 주세붕이 세운 백운동 서원이 서원의 시초입니다.  

 

② 좌수와 별감을 중심으로 운영됨 - 유향

③ 중앙에서 교수와 훈도가 파견됨 - 향교

④ 조광조를 비롯한 사림의 건의로 혁파됨 - 소격서

⑤ 매향 활동을 하면서 각종 불교 행사를 주관 - 향도

 

 

 

 

 

답 :

임꺽정의 난이 일어난 조선 명종 시기의 사실

명종은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어머니인 문정왕후가 수렴청정을 했고

그 과정에서 명종의 외척인 대윤과 인종의 외척인 소윤의 갈등이 원인이 되어 을사사화가 발생했습니다.

 

① 자의 대비의 복상 문제로 예송이 전개됨 - 현종 시기

③ 김종직 등 사림이 중앙 정계에 진출하기 시작함 - 성종 시기

④ 사림이 이조 전랑 임명을 둘러싸고 동인과 서인으로 나뉨 - 선조 시기

⑤ 폐비 윤씨 사사 사건의 전말이 알려져 관련자들이 화를 입음 - 연산군 시기

 

 

 

 

 

답 :

(가) 임진왜란 중 설치된 훈련도감

훈련도감은 임진왜란 중 새로운 군대의 필요성으로 훈련도감이 설치되고

군병은 포수, 사수, 살수의 삼수병으로 편성되었습니다.

이들은 장기간 근무를 하고 일정한 급료를 받아서 직업 군인의 성격을 지녔습니다.

 

① 국경 지역인 양계에 배치됨 - 고려의 지방군

② 소속 군인에게 군인전이 지급됨 - 고려의 중앙군

④ 유사시에 향토 방위를 담당하는 예비군임 - 조선의 잡색군

⑤ 국왕의 친위 부대로 수원 화성에 외영을 둠 - 조선의 장용영

 

 

 

 

 

답 :

강홍립의 투항 (1619년) 이후의 사실

광해군은 전쟁의 뒷수습을 하고자 토지 대장과 호적을 새로 만들고 대동법을 경기도에 시범적으로 실시했습니다.

대외적으로는 명과 후금 사이에 중립 외교 정책으로 강홍립과 군대를 파견했지만, 적당히 싸우고 투항하게 했습니다.

이후 폐모살제와 같은 도덕적 문제점으로 서인이 인조반정을 일으켜 정국의 주도권을 장악했습니다.

 

① 김종서가 여진을 몰아내고 6진을 개척함 - 세종 시기

② 조명 연합군이 평양성 전투에서 승리함 - 임진왜란 시기

③ 정여립 모반 사건을 계기로 기축옥사를 일어남 - 선조 시기

⑤ 제한된 범위의 무역을 허용한 계해약조가 체결 - 세종 시기

 

 

 

 

 

답 :

(가) 정조의 정책

정조는 적극적인 탕평책으로 소론과 남인 계열을 중용했으며,

규장각을 육성하고 서얼들을 규장각 검서관으로 임명했습니다.

그리고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규장각에서 재교육하는 초계문신제를 시행했습니다.

양전 사업을 실시하고 지계를 발급 - 고종

② 속대전을 편찬하여 통치 체제를 정비 - 영조

③ 청과의 경계를 정한 백두산 정계비를 세움 - 숙종

④ 삼군부를 부활시켜 군국 기무를 전담하게 함 - 흥선대원군

 

 

 

 

 

답 :

잠채가 성행하던 조선 후기의 경제 상황

조선 후기에는 광산을 몰래 채굴하는 잠채가 성행했습니다.

강희맹이 농서인 금양잡록을 저술한 시기는 조선 전기 성종 시기입니다.

 

① 상평통보가 시장에서 유통됨 - 조선 후기

③ 보부상이 장시를 돌아다니며 활동함 - 조선 후기

④ 송상, 만상이 대청 무역으로 부를 축적 - 조선 후기

⑤ 왜관에서 개시 무역과 후시 무역이 이루어짐 - 조선 후기  

 

 

 

 

 

답 :

홍대용이 활동했던 조선 후기의 문화

조선 후기에는 한글 소설이 보급되었고 격식에 구애됨이 없고

감정이 구체적으로 표현되는 사설시조가 유행했습니다.  

 

① 안견이 몽유도원도를 그림 - 조선 전

② 김시습이 금오신화를 저술 - 조선 전기

③ 성현 등이 약학궤범을 편찬 - 조선 전기

⑤ 서예에서 조맹부의 송설체가 도입됨 - 고려 후기

 

 

 

 

 

답 :

홍경래의 난

홍경래의 난은 부당한 차별 대우에 불만을 품은 서북지방 사람들을 중심으로 일으켰으며,

몰락한 양반인 홍경래 등이 주도하여 가산, 정주성 등을 점령했습니다.

 

① 백낙신의 탐학이 발단이 됨 - 임술농민봉기

② 집강소가 설치되는 결과를 가져옴 - 동학농민운동

③ 보국안민, 제폭구민을 기치로 내걸음 - 동학농민운동

⑤ 사건의 수습을 위해 박규수가 안핵사로 파견됨 - 임술농민봉기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