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35회 해설 (11번~15번)
- 한국사 (Korean History)/한국사 고급 31회~35회
- 2018. 12. 20. 13:00
답 : ①
최승로의 시무 28조를 받아들인 고려 성종의 업적
성종은 최승로의 유교의 진흥과 불교 행사를 억제하자는 시무 28조를 받아들였고
유교 중심으로 통치 체제를 정비했습니다.
또한, 성종은 12목에 지방관을 파견하고 향리제도를 마련하여 지방 세력을 견제하기도 했습니다.
② 관학 진흥을 위해 양현고를 설치 - 고려 예종
③ 왕권 강화를 위해 노비안검법을 실시 - 광종
④ 신돈을 등용하고 전민변정도감을 설치 - 공민왕
⑤ 빈민을 구제하기 위해 흑창을 처음 설치 - 태조
답 : ③
(가) 거란에 대한 고려의 대응
거란은 총 3차에 걸쳐서 침입을 해왔는데 1차 때는 서희의 담판으로 침입을 막았고
2차, 3차 때는 무력으로 거란의 침입을 막았습니다. 특히, 3차에는 강감찬의 귀주 대첩으로
대승을 거둬 거란을 몰아냈습니다. 그 이후 전쟁을 중단했지만,
현종 때 강감찬의 건의에 따라 개경 주위에 나성을 축조했습니다.
① 화포를 사용하여 진포에서 격퇴 - 왜구
② 별무반 편성하여 동북 9성을 개척 - 여진족
④ 이종무로 하여금 근거지를 정벌하게 함 - 왜구
⑤ 도읍을 강화도로 옮겨 장기 항쟁을 준비 - 몽골
답 : ②
고려의 지방 통치
고려의 군사는 중앙군과 지방군으로 나뉘고 중앙군은 국왕의 친위 부대인 2군과
수도 경비와 국경 방어를 담당하는 6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고려는 중앙에서 지방을 감시하기 위해 지방관을 파견하는데
이는 주군, 주현과 진까지 파견을 하고 속현과 향, 부곡, 소와 같은 특수 행정 구역은 간접적으로 통치를 받았습니다.
① 전국을 5경 15부 62주로 나뉨 - 발해
③ 지방 장관으로 욕살, 처려근지 등을 둠 - 고구려
④ 상수리 제도를 실시하여 지방 세력을 견제 - 통일신라
⑤ 수도의 위치가 치우친 것을 보완하기 위해 5소경을 설치 - 통일신라
답 : ⑤
(가) 평양
인종때 서경 (평양) 천도를 주장했던 묘청은 자신의 뜻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서경에서 난을 일으켰습니다.
일제 시대 1920년부터 조만식 등이 평양에서 조선 물산 장려 운동을 전개한 지역도 평양입니다.
① 망이, 망소이의 난을 일으킴 - 충남 공주
② 정몽주가 이방원 세력에 의해 피살됨 - 개성
③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교육 기관이 설립됨 - 원산
④ 몽골의 침략 때에 소실된 황룡사 9층 목탑이 소재한 곳 - 경주
답 : ②
목화의 전래 (1363년) 시기 - 공민왕, 고려 후기
중국의 농서인 농상집요는 고려 후기 충정왕 때 이암이 국내에 소개했습니다.
① 녹읍 폐지를 명하는 국왕 - 신라 신문왕 시기
③ 당백전을 주조하는 관청 소속 직원 - 조선 고종 시기
④ 공가를 받고 관청에 물품을 납부하는 공인 - 조선 후기
⑤ 고추, 담배 등을 상품 작물로 재배하는 농민 - 조선 후기
'한국사 (Korean History) > 한국사 고급 31회~35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35회 해설 (21번~30번) (0) | 2018.12.21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35회 해설 (16번~20번) (0) | 2018.12.21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35회 해설 (6번~10번) (0) | 2018.12.20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35회 해설 (1번~5번) (0) | 2018.12.19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34회 해설 (46번~50번) (0) | 2018.12.19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