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43회 해설 (41번~50번)
- 한국사 (Korean History)/한국사 고급 41회~45회
- 2019. 6. 17. 23:42
답 : ③
(가) 홍범도
홍범도는 평민 포수 출신의 대한독립군 장군으로 대표적인 전투인 봉오동 전투로 일본군을 상대로 승리했습니다.
그 이후에는 김좌진의 북로군정서와 세력을 합하여 청산리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습니다.
그러나 간도 참변 이후 소련의 지원을 믿고 극동 자유시로 들어갔지만 참변을 겪고 중앙아시아로 끌려가 생을 마감했습니다.
① 양기탁 등과 함께 신민회를 조직 - 안창호
② 광복에 대비하여 조선 건국 동맹을 결성 - 여운형
④ 독립군을 양성하기 위하여 신흥 강습소를 설립 - 이회영, 이상룡 등
⑤ 독립 투쟁 과정을 정리한 한국독립운동지혈사를 저술 - 박은식
답 : ④
6.10 만세운동
3.1 운동 이후 학생들의 민족의식이 고조되었고
이에 사회주의자와 조선학생과학연구회의 학생들은 순종의 인산일을 기회로 만세 운동을 계획했습니다.
6.10 만세운동은 전국적인 시위로 확대되지 못했지만, 사회주의 세력과 천도교 등의 민족주의 세력이 연대함으로써
민족 유일당 운동이 전개되었다는 의의가 있습니다.
① 미쓰야 협정이 체결되는 배경이 됨 - 만주 항일 운동
② 신간회가 조사단을 파견하여 지원 - 광주항일학생운동
③ 대한매일신보의 후원으로 전국적으로 확산됨 - 국채보상운동
⑤ 배우자 가르치자 다함께 브나로드를 구호로 내세움 - 농촌계몽운동
답 : ⑤
(가) 의열단
의열단은 1919년 만주 길림에서 김원봉, 윤세주 등을 중심으로 조직된 단체로
나석주의 동양 척식 주식회사 폭탄 투척, 김익상의 조선총독부 폭탄 투척 등과 같은 항일운동을 진행했습니다.
이러한 폭력 투쟁이후에는 민족 해방 운동의 방향을 바꿔 단원 일부를 황푸 군관 학교에 입학시키기도 했습니다.
① 태평양 전쟁 발발 이후에 조직됨 - 태평양 전쟁은 1941년
② 고종의 밀지를 받아 결성된 비밀 단체 - 독립 의군부
③ 만민 공동회를 열어 민권 신장을 추구 - 독립협회
④ 일제가 조작한 105인 사건으로 큰 타격을 입음 - 신민회
답 : ①
영화 아리랑의 1926년
영화 아리랑은 나운규에 의해 제작 및 상영되었고 그 이후 한국 영화가 획기적으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동일한 1920년대 후반에는 사회주의 영향으로 식민지 현실의 계급 모순을 비판하는 신경향파가 등장했습니다.
② 원각사에서 은세계 공연을 관람하는 학생 - 1908년
③ 육영 공원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미국인 교사 - 1886년~1894년
④ 전차 개통식에 참여하는 한성 전기 회사 직원 - 1899년
⑤ 손기정 선수의 올림픽 우승 소식을 보도하는 기자 - 1936년
답 : ③
일제 총동원시기 (1938년~)
일제는 중일 전쟁 배경속에서 국가 총동원령을 선포하여 인적, 물적 자원의 수탈을 강화했습니다.
문화적으로 창씨개명과 황국 신민 서사 암송, 신사참배를 강요했고 인적 수탈로 강제 징용과 징병제를 실시했습니다.
또한,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을 통해 독립운동을 탄압했습니다.
① 한국인에 한하여 적용하는 조선 태형령을 시행 - 1910년대
② 민족 자본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회사령을 공포 - 1910년대
④ 식민지 교육 방침을 규정한 제1차 조선 교육령을 제정 - 1910년대
⑤ 근대적 토지 소유권 확립을 명분으로 토지 조사 사업을 실시 - 1910년대
답 : ①
(가) 정읍발언 (1946년 6월)
(나) 남북협상 (1948년 4월)
해방 이후 일본군의 무장 해제를 이유로 미군과 소련군이 38도선을 기준으로 나누어 군정을 실시했습니다.
이후 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미소 공동 위원회가 1946~1947년에 열렸지만 결렬되었고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이승만은 남한 단독 정부론을 내비치는 정읍발언을 했고
이후 우익 세력이 적극적으로 정부 수립을 추진했습니다.
이에 여운형과 김규식은 좌우 대립을 극복하기 위해 좌우 합작 위원회를 구성하고 좌우 합작 7원칙을 발표했습니다.
그 이후 남북한 총선거를 진행하려 했지만 소련의 반대와 남북협상의 결렬로 남한에서 5.10 총선거가 이루어졌습니다.
②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가 결성됨 - 1945년 8월
③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가 개최됨 - 1945년 12월
④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가 구성됨 - 1949년 1월
⑤ 유상 매수, 유상 분배 원칙의 농지 개혁법이 제정됨 - 1950년 3월
답 : ⑤
(가) 이승만 정부
조봉암은 무정부 좌파 계열의 정치인으로 조선 공산당 결성을 주도했지만
해방 후 우익 진영으로 전향하여 제헌 내각의 초대 농림부 장관으로 재직했습니다.
이후 1956년 대선에 출마했지만, 낙선했고 1958년에 국가 보안법 위반과 간첩 협의로 체포되었습니다.
이 국가 보안법은 1948년 12월에 제정되었으나 야당과 언론을 탄압하기 위한 목적으로 1958년 12월에 강화되었습니다.
① 통일 주체 국민 회의 대의원이 선출됨 - 박정희 정부
② 농촌 근대화를 표방한 새마을 운동이 전개됨 - 박정희 정부
③ 사회 정화를 명분으로 삼청 교육대가 설치됨 - 전두환 정부
④ 한독 정부 간의 협정에 따라 서독으로 광부가 파견됨 - 박정희 정부
답 : ②
박정희 정부 시기
박정희 정부 시기 중 하나인 1960년대에는 제 1, 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포항제철, 소양강댐, 경부 고속국가 건설되기 시작했고 1970년대부터 제 3, 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중화학공업과 전자공업 중심의 산업구조 근대화가 이루어졌습니다.
① 경제 협력 개발 기구에 가입 - 김영삼 정부
③ 한, 칠레 자유 무역 협정이 체결됨 - 노무현 정부
④ 대통령 긴급 명령으로 금융 실명제가 실시됨 - 김영삼 정부
⑤ 3저 호황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수출이 증가함 - 전두환 정부
답 : ②
5.18 민주화 운동
1980년 5월 서울의 봄이라 불리는 대규모 민주화 운동이 일어나면서
전두환의 신군부 세력은 5월 17일 비상계엄 조치를 전국으로 확대했습니다.
이후 5월 18일에 광주에서 대규모 학생 시위가 발생하자 공수부대를 동원하여 무력으로 진압했고
많은 시민들이 살상당하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민주화 운동은 실패했지만 이후 한국의 민주화 운동의 밑거름이 되었고
2011년에 관련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① 한일 국교 정상화에 반대하여 일어남 - 6.3 사태
③ 대통령 중심제에서 의원 내각제로 바뀌는 계기가 됨 - 4.19혁명
④ 3.1 민주 구국 선언을 통해 긴급 조치 철폐 등을 요구 - 유신 반대
⑤ 4.13 호헌 조치에 반발하여 호헌 철폐 등의 구호를 내세움 - 6월 민주 항쟁
답 : ③
김대중 정부
1997년말 외환 위기 이후 정권을 물려받은 김대중 정부는 산업 구조조정, 노사정 위원회 및
신자유주의 정책 등으로 IMF 기금을 조기 상환했습니다.
통일 정책으로는 평양에서 첫 남북 정상회담을 추진했고 6.15 남북 공동 선언을 발표, 채택했습니다.
① 7.4 남북 공동 성명을 발표 - 박정희 정부
② 남북한이 유엔에 동시 가입 - 노태우 정부
④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에 서명 - 노태우 정부
⑤ 최초의 이산가족 고향 방문을 실현 - 전두환 정부
'한국사 (Korean History) > 한국사 고급 41회~45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검정능력시험 고급 44회 해설 (11번~20번) (0) | 2020.02.16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44회 해설 (1번~10번) (0) | 2020.02.15 |
한국사검정능력시험 고급 43회 해설 (31번~40번) (0) | 2019.06.14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43회 해설 (21번~30번) (0) | 2019.06.05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43회 해설 (11번~20번) (5) | 2019.06.02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