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42회 해설 (41번~50번)

답 :

동학 농민 운동이 실패한 후 손병희는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했고 3.1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또한, 개벽사를 설립하여 개벽, 신여성, 어린이, 학생 등의 잡지를 간행했습니다.

 

① 의민단을 조직하여 무장 투쟁을 전개 - 천주교

③ 경향 신문을 발간하여 민중 계몽에 힘씀 - 천주교

④ 배재 학당을 세워 신학문 보급에 기여 - 개신교

⑤ 을사오적을 처단하기 위해 자신회를 결성 - 대종교

 

 

 

 

 

답 :

(가) 한인 애국단

1920년대 후반 이후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침체기에 빠졌고 이를 타계하기 위해

1931년 10월 한인애국단을 결성하여 항일 투쟁을 진행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이봉창의 폭탄 투척, 홍커우 공원에서 일어난 윤봉길의 폭탄 투척 등이 있습니다.

 

① 중국군과 함께 영릉가 전투에서 큰 전과를 올림 - 조선 혁명군

② 영국군의 요청으로 인도, 미얀마 전선에 투입됨 - 한국광복군

④ 조선 총독부에 국권 반환 요구서를 제출하려 함 - 독립의군부

⑤ 조선 혁명 간부 학교를 설립하여 군사 훈련에 힘씀 - 의열단

 

 

 

 

 

답 :

백남운

일제는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해 식민주의 사관을 내세워 한국사의 자율성을 부정했고

이에 백남운과 같은 민족주의 사학자들은 식민주의 사학의 허구성을 비판했습니다.

특히, 백남운은 조선사회경제사, 조선봉건사회경제사 등을 통해 한국사가 세계사의

보편적인 발전 법칙에 의해 발전했음을 강조하여 식민주의 사관을 비판했습니다.

 

① 조선사 편수회에 들어가 조선사 편찬에 참여 - 최남선, 이병도 등

② 실증주의 사학의 연구를 위해 진단 학회를 창립 - 이병도, 손진태 등

③ 한국독립운동지혈사에서 독립 투쟁 과정을 서술 - 박은식

④ 임시 사료 편찬회에서 한일 관계 사료집을 편찬 - 안창호, 이광수 등

 

 

 

 

 

답 :

일장기 말소 사건 (1936년)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대회에서 손기정 선수가 우승했고 이를 보도한 동아일보는 손기정 선수의 사진에서

일장기를 지워서 보도했고 이로 인해 일제의 언론 탄압이 발생했습니다.

 

① 일제에 의해 경성 제국 대학이 성립됨 - 1924년

② 신경향파 작가들이 카프를 결성 - 1925년

③ 나운규가 제작한 영화 아리랑이 처음 개봉됨 - 1926년

④ 여성 계몽과 구습 타파를 주장하는 근우회가 창립됨 - 1927년

⑤ 일제가 한글 학자들을 구속한 조선어 학회 사건이 일어남 - 1942년

 

 

 

 

 

답 :

제헌 국회 (1948년 5월~1950년 5월)

대다수 국민의 참여와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의 감시 하에 이뤄진 5.10 총 선거 이후 임기 2년의 제헌 국회가 설립되었습니다. 

그 이후 이승만 대통령이 선출되었고 반민족행위 처벌법의 제정,

 유상 매수, 유상 분배 원칙의 농지 개혁법이 제정되기도 했습니다.

 

① 민의원, 참의원의 양원으로 운영됨 - 4.19 혁명 이후

② 한미 자유 무역 협정을 비준 - 노무현 정부

③ 초대 대통령에 한해 중임 제한을 철폐 - 사사오입 (1954년)

⑤ 의원 정수 3분의 1이 통입 주체 국민 회의에서 선출됨 - 유신 헌법

 

 

 

 

 

답 :

김규식 (1881년~1950년)

김규식은 1918년 신한 청년당을 조직하여 파리강화회의에 독립청원서를 제출하기도 했고

김원봉과 민족혁명당 설립에 참여했으며, 1944년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부주석으로 활동하기도 했습니다.

광복 후에는 신탁통치반대운동에 앞장서 여운형과 함께 좌우합작운동을 펼쳤고

1947년에 민족 자주 연맹을 결성하고 1948년에 남한 선거를 반대하여 북한으로 건너가 남북협상을 시도하기도 했습니다.

 

① 의열단을 조직하여 단장으로 활동 - 김원봉

② 재미 한인을 중심으로 흥사단을 창립 - 안창호

③ 신흥강습소를 설립하여 독립군을 양성 - 이회영

⑤ 일제의 패망과 건국에 대비하여 조선 건국 동맹을 결성 - 여운형

 

 

 

 

 

답 :

휴전 협정 (1953년 7월 27일)

6.25 전쟁은 1951년 3월 이후 38선 부근에서 전선이 교착 상태에 빠지기 시작했고

6월 부터 휴전을 위한 회담이 진행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국경 문제, 전쟁 포로 송환 문제 등으로 인해 체결이 2년 넘게 지연됐고

7월 27일 현 전선을 군사 분계선으로 확정하고 비무장 지대를 설치하며,

국 송환 거부 포로는 중립국행으로 결정하여 휴전 협정을 체결했습니다.

 

ㄴ. 미국과 소련의 군정이 종식되는 계기가 됨 - 남, 북한의 정부 수립

ㄹ. 미국의 극동 방위선을 조정한 에치슨 선언에 영향을 줌 - 북한의 침략 가능성

 

 

 

 

 

답 :

(가) 박정희 유신체제 시기

박정희 대통령은 1972년 10월 유신과 비상계엄을 선포하여 국회를 해산하고

 유신 헌법을 제정하여 대통령으로 다시 당선되었습니다.

이후 긴급 조치권으로 민청학련사건을 일으켰고 인혁당 재건 사건 등으로 진보적 인사를 탄압했습니다.

또한, YH무역 여공들의 농성이 신민당사에서 일어나자,

박정희 정부는 이를 문제 삼아 농성을 강경 진압하고 신민당 당수인 김영삼을 국회에서 제명했습니다.

 

① 한미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 - 이승만 정부

③ 대통령 긴급 명령으로 금융 실명제를 시행 - 김영삼 정부

④ 사회 정화를 명분으로 삼청 교육대를 설치 - 전두환 정부

⑤ 평화 통일론을 주장한 진보당의 조봉암을 제거 - 이승만 정부

 

 

 

 

 

답 :

6월 민주 항쟁 (1987년)

1987년 박종철 고문 사망 사건과 4.13 호헌 조치로 인해 6월 민주 항쟁이 발발했고

시위가 진행되는 도중 연세대생 이한열의 사망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확대됐습니다.

이에 정부는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를 받아들여 여야 합의에 의해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하는 헌법을 제정했습니다.

 

① 장면 내각이 출범하는 배경이 됨 - 4.19 혁명

② 굴육적인 한일 국교 정상화에 반대 - 한일협정 반대운동

④ 신군부의 계엄령 확대와 무력 진압에 저항 - 5.18 민주화 운동

⑤ 3.15 부정 선거에 항의하는 시위가 전국으로 확산 - 4.19 혁명

 

 

 

 

 

답 :

노태우 정부의 통일 노력

노태우 정부는 1990년대 들어오면서 급격한 국제 정세의 변화를 겪으면서 적극적인 북방 외교를 펼쳤습니다.

그 예로 남북한의 동시 유엔 가입, 남북 기본 합의서 교환,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 등이 있습니다.

 

② 7.4 남북 공동 성명을 발표 - 박정희 정부

③ 개성 공업 지구 조성에 합의 - 김대중 정부

④ 10.4 남북 공동 선언을 채택 - 노무현 정부

⑤ 이산 가족 고향 방문을 최초로 성사시킴 - 전두환 정부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