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27회 해설 (16번~20번)
- 한국사 (Korean History)/한국사 고급 26회~30회
- 2018. 11. 29. 22:41
답 : ②
진포대첩의 시기
최무선은 화포를 제작하여 우왕6년 (1380년) 진포 대첩에서
500여척의 왜구를 크게 물리쳤습니다.
답 : ④
위훈 삭제와 기묘사화
조광조를 비롯한 당시의 사림은 경연 강화, 언론 활동 활성화, 위훈 삭제,
소격서 폐지, 소학 보급 등의 정책을 추진했지만, 공신들의 반발로 사림세력이 제거되었습니다.
① 왕자의 난이 일어나 정도전등이 피살 - 1차 왕자의 난
② 성상문 등이 상왕의 복귀를 꾀하다 처형 당함 - 단종 복위 운동
③ 김종직의 조의제문이 빌미 - 무오사화
⑤ 폐비 윤씨 사사 사건의 전말로 화를 당함 - 갑자사화
답 : ④
조선시대의 8도 지방체제
조선은 전국을 8도로 나누고 향, 부곡, 소를 일반 군현으로 승격시켰습니다.
또한, 수령의 권한을 전보다 강화했고 향리는 아전으로 격하되었습니다.
① 각 도에 안찰사를 보내 지방행정 감찰 - 고려
② 지방 호족을 통제할 목적으로 사심관 임명 - 고려
③ 수도의 위치를 보완하고자 5소경을 둠 - 통일 신라
⑤ 주현보다 속현이 더 많음 - 고려
답 : ④
(가) 경신환국 (1680), (나) 갑술환국 (1694)
서인이 남인을 몰아내고 집권하게된 경신환국이후에
남인이 원자(장희빈 소생) 정하는 데서 서인을 몰아내고 집권하는 기사환국이 일어납니다.
① 정여립 모반 사건으로 동인들이 피해 입음 - 기축옥사
② 북인이 서인과 남인을 누르고 정국을 주도 - 광해군 시기
③ 서인과 남인이 두 차례의 예송을 전개 - 기해예송, 갑인예송
⑤ 소론의 지지를 받은 희빈 장씨 아들이 왕으로 즉위 - 갑술환국 이후
답 : ②
보부상
보부상은 장시에서 주로 활동하며, 봇짐장수 혹은 짐장수를 말합니다.
그리고 보부상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보부상단이라는 조합을 이루기도 했습니다.
① 시전에서 영업하며 금난전권을 행사 - 시전 상인
③ 공가를 받아 관청에서 필요로 하는 물건을 납품 - 공인
④ 포구에서 중객, 금융, 숙박 등의 영업 - 객주, 여각
⑤ 한강을 무대로 세곡 수송, 곡물 도매업 종사 - 경강 상인
'한국사 (Korean History) > 한국사 고급 26회~30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27회 해설 (26번~30번) (0) | 2018.12.01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27회 해설 (21번~25번) (0) | 2018.11.29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27회 해설 (11번~15번) (0) | 2018.11.29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27회 해설 (6번~10번) (0) | 2018.11.28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27회 해설 (1번~5번) (0) | 2018.11.28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