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10년 1회 해설 (91번~100번)

답 : 

변조하는 방식은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복호화 → 여파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분산화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답 :

비트 스터핑은 프레임 내에 연속해서 6개의 1이 입력되면 플래그, 7개의 1이 입력되면 

오류 프레임으로 인식되는 것으로 데이터의 투명성을 보장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합니다.






답 :

RTCP 패킷은 항상 16비트가 아닌 32비트의 경계로 끝납니다. 


① Session의 모든 참여자에게 컨트롤 패킷을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③ 하위 프로토콜은 데이터 패킷과 컨트롤 패킷의 멀티 플렉싱을 제공한다. 

④ 데이터 전송을 모니터링하고 최소한의 제어와 인증 기능을 제공한다.






답 :

전송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합친 것은 레코드가 아닌 프레임이라고 합니다. 


① 문자 또는 비트들의 데이터 블록을 송/수신한다. 

③ 수신기가 데이터 블록의 시작과 끝은 정확히 인식하기 위한 프레임 레벨의 동기화가 요구된다. 

④ 문자 위주와 비트 위주 동기식 전송으로 구분된다.






답 :

PCM은 Pulse Code Modulation의 약자로 Frequency Modulation을 사용한 변조 방법이 

아닌 Pulse Code Modulation을 사용한 변조 방법입니다.






답 :

Logical Link Control (LLC)은 데이터 링크층의 하위 계층으로 

LAN의 매체 접근 제어 방식이 아닙니다. 


① CSMA/CD

② Token Ring 

③ Token Bus






답 :

RSA는 암호화할 때 하나의 키를 사용하고 해독 과정에서 또 다른 키를 사용하는 기법입니다. 


① DES - 단일키 암호화 기법






답 :

전송 프레임마다 각 시간 슬롯이 해당 채널에게 고정적으로 할당되는 것은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가 아닌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방식입니다. 


① 주파수 분할 다중화는 여러 신호를 전송매체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동시에 전송하는 기술이다.

②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는 전송 시간을 일정한 간격의 시간 슬롯으로 나누고, 

이를 주기적으로 각 채널에 할당한다.

④ 파장 분할 다중화는 광 영역에서의 주파수 분할 다중화로 볼 수 있다.






답 :

세션 계층은 송, 수신 측 간의 관련성을 유지하고 

대화 제어를 담당하고 응용간의 대화 제어를 담당합니다. 

또한, 오류가 있는 부분은 동기점을 이용하여 복구합니다. 






답 : ② 

LCP (Link Control Protocol) 프로토콜은 링크의 연결을 

설정, 유지 및 해제를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