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10년 1회 해설 (81번~90번)

답 : 

폴링(polling)은 주 스테이션이 각 부 스테이션세게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는 방식입니다. 


① 주 스테이션이 특정한 부 스테이션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데이터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 셀렉션 






답 : 

AA는 1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1일 경우 네임 서버가 권한이 인정된 서버임을 나타냅니다. 


① QR - 1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0이면 질의, 1이면 응답을 나타냄. 

② RA - 1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응답에서 지정될 경우 반복적인 응답이 가능함. 

④ RD - 1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1일 경우 클라이언트가 반복적인 응답을 나타냄. 






답 :

Hamming 코드만이 에러 검출 및 정정이 가능하며, 나머지 CRC, ASCII, EBCDIC 코드는 불가능합니다.







답 :

IETF에서 고안한 IPv4에서 IPv6로 전환하는데 사용되는 전략은 세 가지로 

Dual Stack, Tunneling, Header Translation입니다.


① Dual Stack - 호스트에서 IPv4, IPv6를 모두 처리할 수 있도록 2개의 스택을 구성함. 

② Tunneling - IPv6를 사용하는 두 개의 컴퓨터가 IPv4의 네트워크 영역을 통과할 때 사용함. 

③ Header Translation - 네트워크 계층에서 IPv4 패킷 헤더와 IPv6 패킷 헤더를 상호 변환함. 






답 :

LAP-B은 HDLC의 원리를 이용한 비트 동기 제어 프로토콜으로 ITU-T에 의해 제정되었습니다. 






답 : 

ARP는 인터넷 계층 프로토콜으로 응용계층이 아닙니다. 


② DNS

③ SMTP

④ HTTP






답 :

PAD는 Packet Assembler/Disassembler의 약자로 패킷의 조립, 분해 기능을 제공해줍니다. 






답 :

Piggyback은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만 제어 프레임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데이터 프레임에 확인 응답을 포함시켜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답 :

회선 교환 방식은 통신 중 중간 경로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전체 연결이 끊어지므로 에러 제어와 복구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① 송신스테이션과 수신스테이션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먼저 교환기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져야 한다.

③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화 시스템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④ 송신과 수신스테이션 간에 호 설정이 이루어지고 나면 항상 정보를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전용 통신로가 제공되는 셈이다.






답 :

데이터 그램 전송 방식은 목적지 노드에서 패킷들의 순서를 재구성하는 것이고 

가상 회선 전송 방식은 각각의 패킷을 순서대로 전송하므로 순서를 재구성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