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40회 해설 (41번~50번)

답 :

국민학교 규정 칙령 제정 (1941년 4월)

일제는 1940년대 조선인들을 정신적으로 일본인으로 만들기 위해 황국서사암송, 신사 참배 등을 강요했고

초등교육기관에 해당하는 소학교의 명칭을 황국신민의 학교라는 의미의 국민학교로 바꾸었습니다.

 

① 원산 총파업에 동참하는 노동자 - 1929년

② 헌병 경찰에게 태형을 당하는 상인 - 1912년

③ 신간회 창립 대회에 참여하는 청년 - 1927년

④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을 주도하는 학생 - 1929년

 

 

 

 

 

답 :

(가) 조선학 운동

일본의 식민통치에 반대하고 협조를 거부한 비타협적 민족주의의 역사학자들은

1934년에 여유당전서를 계기로 조선학 운동을 전개했습니다.

 

① 신경향파 문학이 등장하는 배경이 됨 - 사회주의 운동

③ 조선사 편수회를 설치하여 조선사를 편찬 - 일제의 식민 지배 정당화

④ 모금 활동을 통한 민립 대학 설립을 목표로 함 - 한국인의 교육

⑤ 오산 학교와 대성 학교를 설립하여 민족 교육을 실시 - 신민회

 

 

 

 

 

답 :

(가) 조선혁명군

독립군들은 일제의 만주 사변을 계기로 항일 의식이 고조된 중국군과 연합하여 활동했습니다.

특히, 조선혁명군은 남만주 지역에서 양세봉의 지휘 아래 중국 의용군과 연합하여

영릉가 전투와 흥경성 전투에서 일본군을 물리쳤습니다.  

 

② 연합군의 일원으로 인도, 미얀마 전선에 파견됨 - 한국광복군

③ 간도 참변 이후 조직을 정비하고 자유시로 이동 - 대한독립군단

④ 중국 관내에서 조직된 최초의 한일 무장 부대 - 조선의용대

⑤ 홍범도 부대와 연합하여 청산리에서 일본군과 교전 - 대한독립군단

 

 

 

 

 

답 :

장준하의 활동

장준하는 일본군 학도병 출신으로 한국 광복군에 참여하여 국내 진공 작전을 준비했습니다.

또한, 해방 이후 잡지 '사상계'를 간행했고 이승만, 박정희 독재에 반대하기도 했습니다.

 

 ① 삼균주의를 바탕으로 건국 강령을 기초 - 조소앙

③ 민중의 직접 혁명을 주장하는 조선 혁명 선언을 집필 - 신채호

④ 일제의 패망과 광복에 대비하여 조선 건국 동맹을 결성 - 여운형

⑤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원을 받아 조선 혁명 간부 학교를 설립 - 김원봉

 

 

 

 

 

답 :

김종필, 오히라 각서 작성 (1962년 11월)

박정희 정부는 국가 경제 개발 계획에 필요한 재원을 일본과의 국교 정상화로 확보하려고 했고

이에 당시 김종필 중앙정보부장과 오히라 마사요시 일본 외상 간에 각서를 작성하여 청구권 문제를 합의했습니다.

그러나 회담 진행 과정에서 학생들과 시민들이 회담에 반대하는 6.3시위를 벌였고

정부는 계엄령을 실시하여 이를 억제하고 한일 협정을 맺었습니다.  

 

①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 구성 - 1949년

③ 평화 통일론을 주장한 진보당의 조봉암이 구속됨 - 1959년

④ 유엔 한국 재건단의 지원으로 문경 시멘트 공장이 건설됨 - 1957년

⑤ 일제가 남긴 재산 처리를 위해 귀속 재산 처리법이 제정됨 - 1949년

 

 

 

 

 

답 :

긴급조치의 박정희 정부시기 (1972년~1979년 10월)

박정희 정부는 1972년 비상 계엄을 선포하여 국회를 해산했고 10월 유신을 단행했습니다.

그리고 유신 체제를 부정하고 헌법을 개정을 요구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긴급조치를 발표했습니다.

그 이후, 1979년에는 YH 무역 여공들의 농성이 야당 신민당사에서 일어났고

정부는 야당 당수인 김영삼을 국회 제명했습니다. 그 이후 10월 부마항쟁과 피살사건으로 유신체제는 붕괴되었습니다.

 

① 미국과의 자유 무역 협정 (FTA)이 체결됨 - 노무현 정부

③ 경자유전의 원칙에 따른 농지 개혁법이 제정됨 - 이승만 정부

④ 남북간 경제 교류 활성화를 위한 개성 공단이 건설됨 - 김대중 정부

⑤ 금융 거래의 투명성을 확보하고자 금융 실명제가 실시됨 - 김영삼 정부

 

 

 

 

 

답 :

유신헌법, 7차 개헌 (1972년)

(나) 유신헌법, 7차 개헌 (1972년)

(다) 7년 단임의 대통령 간선제, 8차 개헌 (1980년)

(라)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 9차 개헌 (1987년)

 

 

 

 

 

답 :

(가) 인천

1876년에 강화도 조약과 제물포 조약의 결과로 1883년에 인천항이 개항되었고

인천은 1876년에 강화도 조약과 제물포 조약의 결과로 1883년에 인천항이 개항되었고

개항 후에는 1888년까지 조계라는 각 나라의 거류지가 마련되어 우리나라 최초의 외국인 거류지가 됐습니다.

 

② 제1차 미소 공동 위원회가 개최됨 - 서울 덕수궁 석조전

③ 일본과의 무역을 위한 왜관이 설치됨 - 부산, 진해, 울산

④ 강우규가 사이토 총독에게 폭탄을 투척 - 서울 남대문

⑤ 영국군이 러시아 견제를 빌미로 불법 점령 - 거문도

 

 

 

 

 

답 :

4.19 혁명

1960년 3.15 부정선거로 이에 항의하는 학생들과 시민들의 시위가 일어났고

이를 폭력으로 진압하는 과정에서 마산의 김주열이 사망하여 이에 분노가 전국적으로 터졌습니다.

이후 전국적인 시위로 4.19 혁명이 일어났습니다. 이후 이승만은 하야했고 양원제 국회와 장면 내각이 출범했습니다.

 

① 호헌 철폐와 독재 타도 등의 구호를 내세움 - 6월 민주 항쟁

② 전개 과정에서 시민군이 자발적으로 조직됨 - 5.18 민주화 운동

③ 신군부의 비상 계엄 확대가 원인이 되어 일어남 - 5.18 민주화 운동

⑤ 3.1 민주 구국 선언을 통해 장기 독재에 저항 - 유신 체제 반대 운동

 

 

 

 

 

답 :

(가) 7.4 남북 공동 선언 발표 - 1972년 박정희 정부

(나) 남북 학생 회담 요구 집회 - 1961년 이승만 정부

(다) 10.4 남북 공동 선언 채택 - 2007년 노무현 정부

(라) 정주영 북한 방문 - 1998년 김대중 정부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