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31회 해설 (31번~35번)
- 한국사 (Korean History)/한국사 고급 31회~35회
- 2018. 12. 11. 20:16
답 : ④
세도정치기의 모습
세도정치기(1800년~1863년)는 정조 이후에 안동 김씨나 풍양 조씨같은
소수의 왕의 외척들이 권력을 행사하는 시기를 말합니다.
임꺽정은 명종 시기(1545년~1567년) 활동한 도적으로 세도정치기 이전입니다.
① 농민 봉기의 진상을 조사하는 안핵사 - 세도정치기
② 환곡의 부담으로 마을을 떠나는 농민 - 세도정치기
③ 왕조 교체를 예언한 정감록을 읽는 양반 - 세도정치기
⑤ 삼정이정청에서 개혁 방안을 논의하는 관료 - 세도정치기
답 : ①
실학자 유수원
유수원은 우서를 저술하여 상공업의 진흥과 기술의 혁신을 강조하고
사농공상의 직업 평등과 전문화를 주장했습니다.
② 기기도설을 참고하여 거중기를 설계함 - 정약용
③ 사람의 체질을 연구하여 사상 의학을 확립 - 이제마
④ 북학의 저술하여 수레와 배의 이용을 권장 - 박제가
⑤ 천체의 운행과 위치를 측정하는 혼천의를 제작 - 홍대용
답 : ⑤
(가) 임오군란
임오군란 중에 별기군의 일본인 교관이 죽었고 이에 일본은
대규모 군대를 파견하여 군란의 책임을 물었고
제물포 조약을 체결하여 공사관 경비를 위한 군대 주둔을 요구했습니다.
① 청에 영선사가 파견됨 - 강화도 조약 이후
② 5군영이 2영으로 개편됨 - 강화도 조약 이후
③ 스티븐스가 외교 고문으로 임명됨 - 제1차 한일 협약 이후
④ 개화 정책을 총괄하는 통리기무아문이 설치됨 - 강화도 조약 이후
답 : ④
위정척사운동의 시대적 변화
(가) 1860년대 척화주전론, (나) 1870년대 왜양일체론, (다) 1880년대 조선책략 비판
왜양일체론은 일본과의 수교를 반대하기 위해 제기되었습니다.
① 이항로와 기정진 등이 대표적인 인물 - 척화주전론
② 흥선 대원군의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을 뒷받침 - 척화주전론
③ 강화도 조약의 체결에 반대 - 왜양일체론
⑤ 조선책략의 유포로 인해 일어남 - 조선책략 비판
답 : ④
한반도 중립화론의 배경인 거문도사건
갑신정변이후 조선을 둘러싼 국가들의 대립이 심화되고
영국은 러시아의 남하를 막기 위해 거문도를 불법 점령했습니다.
그래서 유길준은 조선이 침략으로부터 안전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중립국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① 제1차 영일 동맹이 체결됨 - 의화단 난 진압 후
② 러시아가 삼국 간섭을 주도 - 시모노세키조약 이후
③ 청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 - 시모노세키 조약 이전
⑤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김 - 을미사변 이후
'한국사 (Korean History) > 한국사 고급 31회~35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31회 해설 (41번~45번) (0) | 2018.12.12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31회 해설 (36번~40번) (0) | 2018.12.11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31회 해설 (26번~30번) (0) | 2018.12.11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31회 해설 (21번~25번) (0) | 2018.12.11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31회 해설 (16번~20번) (0) | 2018.12.10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