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31회 해설 (6번~10번)
- 한국사 (Korean History)/한국사 고급 31회~35회
- 2018. 12. 10. 08:30
답 : ③
백제와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 (551) 이후
백제 성왕이 고구려로부터 한강 유역을 점령한 이후 신라에게 빼앗기게 됩니다.
이에 나제동맹은 결렬되고 신라를 공격했지만 관산성에서 패배하고 전사합니다.
① 신라가 금관 가야를 병합 - 532년
② 고구려 장수왕은 평양으로 도읍을 옮김 - 427년
④ 고구려가 영락이라는 연호를 사용 - 광개토 대왕 시기
⑤ 백제가 동진으로부터 불교를 수용 - 384년
답 : ③
백제 부흥 운동 (663년)
복신과 흑치상치, 도침 등은 왕자 풍을 왕으로 추대하고
백제 부흥 운동을 펼쳤습니다. 왜의 수군 또한 백제를 지원하기 위해
백강 입구까지 왔지만 패배를 당하고 쫓겨났습니다.
답 : ⑤
(가) 정림사지 5층 석탑
정림사지 5층 석탑은 당의 소정방이 쓴 글이 있어 평제탑으로 불리는 수모를 겪었지만
목조탑 형식을 많이 보존하고 있어 우리나라 석탑 양식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① 화엄사 사사자 3층 석탑
② 불국사 3층 석탑
③ 진전사지 3층 석탑
④ 경주 감은 사지 3층 석탑
답 : ④
(가) 의상
의상은 당에 유학하고 귀국하여 화엄종을 창설하고 화엄 사상을 전개했고
현세에거 고난을 구제받고자 하는 관음 신암을 강조했습니다.
① 화왕계를 지어 왕에게 조언 - 설총
② 황룡사 구층 목탑의 건립을 왕에게 건의 - 자장
③ 승려들의 전기를 기록한 해동고승전을 남김 - 각훈
⑤ 종파 간의 사상적 대립을 해소하기 위해 십문화쟁론을 저술 - 원효
답 : ②
(가) 벽돌식 무덤, (나) 굴식 돌방무덤
벽돌식 무덤은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무령왕릉이 유명합니다.
굴식 돌방 무덤에서는 벽화를 그리기도 했습니다.
ㄴ. 무덤의 둘레돌에 12지 신상을 조각 - 돌무지 덧널 무덤
ㄹ. 도굴이 어려워 금관, 유리잔 등 많은 껴묻거리가 출토됨 - 돌무지 덧널 무덤
'한국사 (Korean History) > 한국사 고급 31회~35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31회 해설 (26번~30번) (0) | 2018.12.11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31회 해설 (21번~25번) (0) | 2018.12.11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31회 해설 (16번~20번) (0) | 2018.12.10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31회 해설 (11번~15번) (0) | 2018.12.10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31회 해설 (1번~5번) (0) | 2018.12.09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