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Korean History)/한국사 고급 46회~50회 부약탈자 2020. 8. 7. 14:13
답 : ③ (가) 고려 태조와 성종 사이의 시기 왼쪽 그림은 훈요 10조로 고려 태조 왕건 시기임을 알 수 있고 오른쪽 그림은 시무 28조로 성종 시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노비 안검법은 광종 시기로 태조와 성종 사이입니다. ① 정방이 설치됨 - 고려 고종 (최우) ② 별무반이 편성됨 - 고려 숙정 ④ 독서삼품과가 시행됨 - 신라 하대 ⑤ 정동행성 이문소가 폐지됨 - 고려 공민왕 답 : ① 고려 시대의 경제 본문의 벽란정과 개경으로 고려시대임을 알 수 있습니다. 고려 숙종 때 주전도감에서 해동중보, 삼한통보 및 활구를 만들었습니다. ② 인삼, 담배가 상품 작물로 재배됨 - 조선 후기 ③ 내상, 만상 등이 무역을 통해 부를 축적함 - 조선 후기 ④ 덕대가 물주에게 자금을 받아 광산을 경영함 - 조선 후기 ..
더 읽기
한국사 (Korean History)/한국사 고급 46회~50회 부약탈자 2020. 7. 27. 21:48
답 : ① (가) 구석기 시대 뗀석기와 슴베찌르기를 사용하는 시대는 구석기 시대입니다. 주로 이동 생활과 사냥을 했으며 동굴이나 막집에 거주했습니다. ② 가락 바퀴를 이용하여 실을 뽑음 - 신석기 시대 ③ 명도전을 이용하여 중국과 교역함 - 철기 시대 ④ 철제 농기구를 사용하여 농사를 지음 - 철기 시대 ⑤ 의례 도구로 청동 방울 등을 제작함 - 청동기 시대 답 : ② (가) 부여 고구려의 주몽은 부여에서 나온 사람이며, 고구려에서 백제의 온조와 비류가 나왔습니다. 부여의 대표적인 제도로는 1책 12법과 12월에 영고라는 제천 행사가 있습니다. ① 신성 구역인 소도를 둠 - 삼한 ③ 혼인 풍속으로 민며느리제가 있었음 - 옥저 ④ 부족 간의 경계를 중시하는 책화가 있었음 - 동예 ⑤ 목지국을 비롯한 많은 ..
한국사 (Korean History)/한국사 고급 46회~50회 부약탈자 2020. 4. 14. 13:00
답 : ③세조의 업적 본문은 상왕인 단종을 복위시키기 위한 사육신의 움직임이 있었지만 세조에게 발각되어 실패했다는 내용입니다. 사육신과 생육신 외에 이시애의 난 또한 세조에 반대하여 일어났지만진압되어 실패로 끝났습니다. ① 유자광의 고변을 계기로 남이를 처형함 - 예종 ② 변급, 신류 등을 파견하여 나선 정벌을 단행함 - 효종 ④ 인목 대비 유폐와 영창 대군 사사를 명분으로 폐위됨 - 광해군⑤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초계문신제를 시행함 - 정조 답 : ⑤(가) 천주교황사영은 조선 후기 천주교 순교자로 신유박해로 천주교도들에 대한 탄압이 심해지자 백서를 작성하여 서양의 나라에 보내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도중에 발각되었고 1801년 처형됐습니다. 만주의 무장독립운동단체인 의민단은 천주교도들을 중심으로 ..
한국사 (Korean History)/한국사 고급 46회~50회 부약탈자 2020. 4. 13. 13:00
답 : ③왕건의 삼국통일과정 초기에는 공산전투 등에서 견훤에 밀렸지만 고창전투에서 후백제를 물리치면서 승기를 잡았고 신라 복속, 후백제 복속을 통해 삼국 통일을 이루었습니다. (가) 고창전투 - 930년(나) 공산전투 - 927년 (다) 신라의 멸망과 복속 - 935년(라) 후백제의 멸망 - 936년 답 : ①고려 성종 고려 성종은 12목을 설치하여 지방의 인재를 길러냈으며 최승로의 시무28조를 수용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향리제를 정비하여 지방세력인 호족을 견제하고 통제했습니다. ② 주전도감을 설치하여 해동통보를 발행함 - 숙종 ③ 쌍기의 건의를 받아들여 과거제를 실시함 - 광종 ④ 정계와 계백료서를 지어 관리의 규범을 제시함 - 태조 왕건⑤ 국자감을 성균관으로 개칭하고 유학 교육을 강화함 - 충선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