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Korean History)/한국사 고급 21회~25회 부약탈자 2019. 2. 25. 21:40
답 : ④ 한성순보 개화파는 개화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신문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이에 따라 박문국을 설치하고 최초의 신문인 한성순보를 발간했습니다. 한성 순보의 특징으로는 한문을 사용했으며, 10일마다 발간했고 정부 관보의 성격을 지녔습니다. ① 영문판이 함께 발행됨 - 독립신문 ② 최초로 상업 광고를 게재 - 한성주보 ③ 일제의 신문지법에 의해 탄압을 받음 -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⑤ 서민층과 부녀자를 주된 독자층으로 삼음 - 제국신문 답 : ① 한국통사의 박은식 박은식은 서북학회 활동, 황성신문 주필 등의 활동을 했고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참여하여 1925년에 2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습니다. ② 조선어 학회에 가입하여 한글을 연구 - 임경재, 장지영 등 ③ 실증주의 사학을 추구한 진단 학회를 ..
더 읽기
한국사 (Korean History)/한국사 고급 21회~25회 부약탈자 2019. 2. 17. 12:02
답 : ③ (가) 삼봉 정도전 호가 삼봉인 정도전은 조선 왕조 개창에 주요 인물이었으며, 조선의 유교적 통치 규범을 다루는 조선경국전과 경제문감을 편찬하고 불교를 비판하는 불씨잡변을 저술하기도 했습니다. ① 북방에 6진을 개척 - 김종서 ③ 금난전권의 혁파를 건의 - 체제공 ④ 향약을 전국적으로 실시하고자 함 - 조광조, 김안국 등 ⑤ 계유정난을 계기로 정계에서 축출됨 - 김종서, 황보인 등 답 : ⑤ (가) 훈련도감 임진왜란 초기에 어이없는 패전을 경험하면서 새로운 군대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고 이에 훈련도감이 설치되었습니다. 훈련도감의 군병은 포수, 살수, 사수의 삼수병으로 조직되었으며, 일정한 급료를 받는 상비군으로써 의무병이 아닌 직업 군인의 성격을 가진 군인이었습니다. ㄱ. 순조가 즉위하면서 혁파..
한국사 (Korean History)/한국사 고급 21회~25회 부약탈자 2019. 2. 14. 22:02
답 : ④ 영광탑의 발해 발해의 문화는 고구려와 당나라의 문화가 융합된 형태로 길림에 있는 영광탑이 당의 문화를 본딴 건축물로 13미터 높이의 5층 벽돌탑입니다. 지방관을 감찰하기 위해 외사정을 파견한 나라는 신라입니다. ① 말, 모피, 인삼 등이 주요 수출품 - 발해 ② 인안, 대흥 등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 - 발해 ③ 정당성의 장관인 대내상이 국정을 총괄 - 발해 ⑤ 일본에 보낸 국서에 고구려의 후예임을 내세움 - 발해 답 : ② 숙종은 즉위 후 여진족이 고려의 국경까지 남하하면서 대립이 시작되자 윤관의 건의를 받아들여 별무반을 창설하여 군사력을 강화했고 여진족을 북방으로 몰아냈습니다. 경제 정책으로는 화폐 유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삼한통보, 해동통보 등을 발행했습니다. ㄴ. 삼별초를 조직하여 정..
한국사 (Korean History)/한국사 고급 21회~25회 부약탈자 2019. 2. 13. 22:16
답 : ② (가) 구석기 시대 구석기 시대에는 주먹도끼 등의 뗀석기를 주로 사용했으며, 이동 생활을 하면서 주로 동굴에서 살거나 강가에 막집을 짓고 살았습니다. 한반도의 주요 구석기 유적지로는 경기도 연천 전곡리, 충남 공주시 석장리 등이 있습니다. ① 빗살무늬 토기에 식량을 저장 - 신석기 시대 ③ 지배자의 무덤으로 고인돌을 만듬 - 청동기 시대 ④ 거푸집을 사용하여 도구를 제작 - 청동기 시대 ⑤ 반달 돌칼을 이용하여 벼를 수확 - 청동기 시대 답 : ③ 고구려 소수림왕 고국원왕이 백제 근초고왕의 공격을 받아 전사한 후 즉위한 소수림왕은 중국 전진으로부터 불교의 수용, 태학 설립 등의 업적을 이루었고 율령을 반포하여 국가 조직을 정비했습니다. ① 신라에 침입하 왜를 격퇴 - 광개토 대왕 ② 서안평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