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10년 1회 해설 (1번~10번)

답 : 

내부 스키마

내부 스키마는 저장스키마로 물리적인 저장 장치와 밀접한 계층입니다. 

그 외 설명은 본문과 같습니다. 


① 외부 스키마 -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한 논리적인 부분으로 볼 수 있으므로 서브 스키마라고도 합니다. 각 개인의 입장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이며,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여러개의 외부 스키마가 가능하고 하나의 외부 스키마를 여러 프로그램이나 사용자가 공용 가능합니다. 


개념 스키마 - 모든 응용 프로그램이나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종합한 데이터 베이스를 말하며 하나만 존재합니다. 데이터 파일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반적인 스키마입니다. 





답 : 

뷰(View)는 실제 테이블로 만들어진 가상테이블이라 삭제는 가능하지만 삽입, 갱신이 불가능합니다.


① 뷰 위에 또 다른 뷰를 정의할 수 있다.

② DBA는 보안 측면에서 뷰를 활용할 수 있다. 

③ 뷰의 정의는 ALTER문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없다.






답 : 

데이터 모델의 구성요소는 구조(Structure), 연산(Operation), 제약조건(Constraint)입니다. 


② Structure - 논리적으로 표현된 개체 타입들 간의 관계로 데이터 구조 및 정적 성질을 표현함 

③ Operation - DB에 저장된 실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하는 것으로 DB를 조작하는 도구

④ Constraint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 실제 데이터의 논리적인 제약 조건






답 : 

삽입 정렬은 배열의 모든 요소를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비교하는 정렬으로 K회전 후 

결과 배열은 K+1이 정렬된 상태로 5와 4가 비교하여 오름차순으로 바뀌는 형태입니다. 






답 :

하나의 릴레이션 내에 있는 튜플의 순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① 모든 튜플은 서로 다른 값음 갖는다. 

③ 각 속성은 릴레이션 내에서 유일한 이름을 가진다. 

④ 모든 속성 값은 원자 값이다.






답 :

Concurrent Sharing (동시공용)은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진 여러 응용자들을 위한 것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내용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① Time Accessibility (실시간 접근성) - 실시간 처리에 의한 응답이 가능해야 합니다. 

② Continuous Evolution (계속적인 변화) - 데이터의 상태는 동적이며, 새로운 데이터의 삽입, 삭제, 갱신으로 최신의 데이터를 유지해야 합니다. 

④ Content Reference (내용 참조) -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주소나 위치에 의한 것이 아닌 사용자가 요구하는 내용으로 데이터를 찾습니다.






답 :

관계 대수는 절차적인 특징을 가지고 관계 해석은 비절차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답 :

개체 무결성은 모든 테이블이 기본키로 선택된 필드를 가져야 하며, 

널(Null)값이나 중복 값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② 참조 무결성 - 참조 관계에 있는 두 테이블의 데이터가 항상 일관된 값을 갖도록 유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③ 도메인 무결성 - 테이블에 존재하는 필드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필드의 타입이나 널(Null) 값의 허용 등에 대한 속성을 정의하는 것입니다. 






답 :

사용자가 직접 시스템 카탈로그 내용을 검색할 수는 있지만 갱신할 수는 없습니다. 


② 시스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스키마 및 여러가지 객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③ 시스템 카탈로그에 저장되는 내용을 메타 데이터라 함 

④ 시스템 카탈로그 DBMS가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함






답 : 

Y는 X에 함수적 종속이라고 했을떄 Y는 종속자, X는 결정자가 되며 

X → Y로 표시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