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10년 1회 해설 (31번~40번)

답 : 

인스턱션 세트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억 공간, 사용빈도, 주소 지정방식, 주기억장치 밴드폭이 고려해야할 사항입니다.






답 :

A + A'B는 (A+A')(A+B)로 바꿀 수 있습니다. 

여기서 A+A'는 1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A+B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답 :

1, 3, 4, 5, 7를 각각 2진수로 나누면 

1 = 001

3 = 011

4 = 100

5 = 101

7 = 111

이에 대응하는 식을 찾으면 xy' + z 가 됩니다. 






답 :

인터럽트의 필요성은 CPU 실행과 입출력의 순차적인 실행이 아닌 병행 실행입니다. 


① 트랩의 발생 시점은 동일한 입력에 대해서 일정하다. 

② 인터럽트 발생에 대한 처리는 인터럽트 처리기가 담당한다. 

④ 인터럽트를 발생시킨 입출력 장치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폴링과 벡터를 사용한다.






답 :

사상 함수는 data와 기억 장소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로 

주소로부터 기억 장소로의 변환에 사용됩니다.


② DMA - 입출력 장치가 직접 주기억장치에 접근하여 data block에 접근하는 방식.

③ 캐시 메모리 - 주기억장치와 중앙처리장치의 속도 차이를 개선하기 위한 메모리.






답 :

전달 기능을 나타내는 명령어는 LOAD, STORE, MOVE, PUSH, POP입니다. 


① 함수 연산 기능 : ROL, ROR

③ 제어 기능 : JMP, SMA
④ 입출력 기능 : INP, OUT






답 :

INDIRECT 상태는 Fetch 단계에서 해석한 주소를 읽어서 

간접 주소일 경우 유효주소를 구하는 단계입니다. 


① FETCH 상태 : 명령어를 주기억장치에서 중앙처리장치의 명령 레지스터로 가져와서 해독하는 단계

② EXECUTE 상태 : Fetch 단계에서 해석한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

④ INTERRUPT 상태 : 인터럽트 발생 시 복귀 주소를 저장시키고 제어 순서를 

인터럽트 처리 프로그램의 첫번째 명령으로 옮기는 단계 






답 :

플립플롭은 시간 차나 프로세스에 따라 값이 옮겨가는 원리를 이용하여 

data을 기억하는 기능를 가집니다. 






답 :

가상 기억 장치는 컴퓨터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아닌 

공간 확대 효과를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② 주기억장치를 확장한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③ 실제로는 보조기억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④ 사용자가 프로그램 크기에 제한받지 않고 실행이 가능하다.






답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들의 수행 시간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동기 고정식이 아닌 동기 고정식이 적합합니다. 


① 제어장치의 구현이 간단하다. 

② 여러 종류의 마이크로 오페레이션 수행시 

CPU사이클 타임이 실제적인 오퍼레이션 시간보다 길다.

④ 중앙처리장치의 시간이용이 비효율적이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