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현상, 월식 (Lunar Eclipse)

 

 

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지구는 태양을 기준으로 공전하고 달은 지구를 기준으로 공전하기 때문에 지구, 태양, 달이 일직선으로 위치하게 되는 순간이 있습니다. 정확하게는 태양, 지구, 달의 위치 순서로 배열되는 순간이 있습니다. 이 때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 바로 월식입니다.

 

1. 종류

월식은 크게 4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개기 월식, 부분 월식, 반영식, 반영 개기식입니다. 개기 월식은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때 달은 지구에서 보았을 때 완전히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이 아니라 검붉게 빛나게 됩니다. 부분 월식은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일부만 들어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래서 달은 이 때 보름달이 아닌 다른 형태로 보이게 됩니다. 반영식은 달이 지구 반그림자를 지나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때는 달의 모양은 그대로 이고 밝기가 약간 어두워집니다. 마지막으로 반영 개기식은 달이 지구 반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지구의 반그림자의 간격이 지구의 전체 그림자의 간격보다 좁기 때문에 이런 형태의 월식이 발생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그래서 4 가지 형태 중 가장 희귀한 형태입니다. 가장 최근의 반영 개기식으로는 2006년 3월 경에 있었습니다.

 

2. 특성

달의 공전 궤도와 지구의 공전 궤도가 약 5도 가량 차이가 나기 때문에 개기월식이 공전 주기대로 관측되지는 않습니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생각하기에 지구, 달, 태양이 일직선이 되면 달이 보름달인 상태로 개기 월식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상기의 사유로 인해 보름달이 아닌 상태로 개기 월식이 발생합니다.  일식과 달리 월식은 지구의 밤인 곳 어디에서나 관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식처럼 관측이 어렵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지구의 그림자에 의해 달이 가려지면 어느 위치에서도 달의 형태가 가려지기 때문에 어느 곳에서도 관측가능합니다.  월식은 일 년에 2번 이상 일어납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월식의 그림자를 지구의 그림자로 증명하면서 지구가 둥글다는 이론의 증거가 되기도 했습니다.

 

3. 최근의 월식

2000년 이후 개기 월식은 2004년, 2007년, 2011년, 2014년, 2018년에 관측 가능했습니다. 특히 2018년에는 특이한 현상을 자주 볼 수 있었습니다. 2018년 1월 31일에는 개기 월식에 블루문, 슈퍼문까지 합쳐진 희귀한 달이 떠서 관측 가능했으며, 2018년 7월 28일에는 만월, 블러드문, 초근접 화성까지 관측 가능했습니다. 여기서 블러드 문은 피가 흐르는 것처럼 붉은 달을 말하며 블루문은 보름달이 한달에 2번 뜨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리고 슈퍼문은 지구와 달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달이 크게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