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22회 해설 (11번~20번)

답 :

무신 집권기 하층민의 반란

무신정변으로 고려 전기 신분제도가 동요되어 하층민에서 권력층이 된 경우가 많았고

백성들에 대한 통치력이 약화되며 수탈이 심해졌습니다.

그래서 망이, 망소이의 난과 김사미, 효심의 봉기 등이 일어났습니다.

 

① 신라 부흥을 내세움 - 김사미, 효심의 봉기

③ 몽골의 침입에 항거하여 일어남 - 처인부곡의 항전

④ 원 간섭기 권문세족의 수탈에 저항 - 하층민 봉기 없음

⑤ 임술 농민 봉기로 확산되는 계기가 됨 - 세도 정치기

 

 

 

 

 

답 :

최치원의 신라 하대 시기

신라 하대 시기에는 무열왕계의 세습이 끊어지며, 왕권이 약화되고 

중앙 정부의 지방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되었습니다. 

이에 호족들이 반독립적인 세력으로 성장했고 원종과 애노의 난 등 농민 봉기가 일어났습니다.

 

ㄱ. 무열왕의 직계 자손이 왕위를 세습 - 신라 하대 시기 이전

ㄹ. 의상이 화엄 사상을 바탕으로 교단을 형성 - 신라 중대

 

 

 

 

 

답 :

(가) 고려 태조 왕건

해당 내용은 왕건의 2번째 왕비인 나주 출신 장화 왕우 관련 이야기입니다.

왕건은 왕위에 오른 뒤 역분전을 차등 지급하고 유력한 호족과는 혼인을 통해 관계를 이어갔고

동시에 호족을 경계하기 위해 기인제도와 사심관 제도를 실시했습니다.

 

① 5도 양계의 지방 제도를 완비 - 현종

③ 과거 제도를 실시하여 중앙 통치 조직을 정비 - 광종

④ 2성 6부제를 토대로 중앙 통치 조직을 정비 - 성종

⑤ 전시과 제도를 마련하여 관리에게 토지를 지급 - 경종

 

 

 

 

 

답 :

최씨 무인 정권을 세운 최충헌

이의민을 타도하고 정권을 잡은 최충헌은 사회 개혁책을 펼쳤지만,

실패했고 사병 양성과 권력 유지에 치중했습니다.

또한, 최고 집정부의 구실을 하는 교정도감을 설치하여 권력을 했습니다.

 

① 이자겸과 함께 난을 일으킴 - 척준경

②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을 진압 - 김부식

③ 성종에게 지방관의 파견을 건의 - 최승로

④ 외교 담판으로 강동 6주를 획득 - 서희

 

 

 

 

 

답 :

조선 8도의 지방관 관찰사

수령의 권한이 강화되자 이를 감독하는 관찰사가 임명되었고

전국 8도에 파견하여 수령을 감독했습니다.

 

① 수령의 행정 실무를 보좌 - 향리

② 삼사를 소속되어 관리의 비리를 감찰 - 사헌부

④ 왕의 대리님으로 현감 또는 현령으로 불림 - 종5, 6품

⑤ 6조 판서 중 하나로 관원의 인사 업무를 담당 - 이조 판서

 

 

 

 

 

답 :

반원 자주 정책의 공민왕

공민왕은 원명 교체기를 이용하여 반원 자주 정책을 시행하고

왕권 강화를 도모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기철과 같은 친원 세력을 1356년에 숙청하기도 했습니다.

 

 

 

 

 

답 :

(가) 주심포

고려 전기에는 주로 주심포 양식이 유행했는데,

대표적인 건축물로 안동 봉정사 극락전,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예산 수덕사 대웅전 등이 있습니다.

 

 

 

 

 

답 :

윤관의 별무반

12세기 초 여진족이 고려의 국경까지 남하하면서 고려군과 자주 충돌했고

윤관의 건의에 따라 별무반을 편성하여 여진족을 북방으로 몰아냈습니다.

 

① 2군 6위로 편제됨 - 고려의 중앙군

③ 일정한 급료를 받는 상비군 - 고려의 중앙군 

④ 무신 정권에서 유지하는 사병 역할을 함 - 삼별초

⑤ 강화도에서 진도로 근거지를 옮겨 활동 - 삼별초  

 

 

 

 

 

답 :

(가) 의천

문종의 넷째 왕자인 의천은 원효의 통합 불교 사상을 계승하여 교단 통합 운동을 펼쳤습니다.  

수선사 결사를 통한 불교 개혁 운동을 전개한 승려는 지눌입니다.

 

① 화폐 유통의 필요성을 주장 - 의천

② 화엄종을 중심으로 교종을 통합하려함 - 의천

④ 불교 경전에 대한 주석서를 모아 교장을 편찬 - 의천

⑤ 이론 연마와 수행을 함께 강조하는 교관 겸수를 제창 - 의천

 

 

 

 

 

답 :

(가) 요(거란)

(나) 송

(다) 일본

고려의 대외 무역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송과의 무역으로

송에서 왕실과 귀족의 수요품인 비단, 서적, 약재 등을 수입하고

종이, 인삼 등의 수공업품과 토산물을 수출했습니다.

① 경원 개시를 통해 교역 - 조선 후기

② 수은과 황을 주로 수입 - 일본

③ 만상이 활동 - 조선 후기

⑤ 3포를 개항 - 조선 세종 시기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